•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대 서산 부장리 세력의 성장 배경과 위상 (The Factions of Bujang-ri, Seosan in the Fifth Century –the Status of and the Background to Their Emergen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08
22P 미리보기
5세기대 서산 부장리 세력의 성장 배경과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5호 / 77 ~ 98페이지
    · 저자명 : 이한상

    초록

    부장리고분군은 5세기 무렵 서산지역에서 활동한 중심세력의 묘역이다. 묘제로 보면 이전 시기의 전통적 요소를 잇고 있고, 백제사회에서 최고급 물품으로 여겨졌을 법한 위세품이 다수 출토되었다. 고분군의 규모와 출토 유물에 드러난 부장리고분군의 위상은 같은 시기 백제 사회에서 높은 편에 속한다.
    부장리 세력 성장의 배경을 보여주는 자료가 예천동유적에서 확인된다. 유적의 일부만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위 무덤의 군집도가 탁월하며 철정을 비롯한 철기 부장묘가 많다. 그리고 서북한지역으로부터 수입한 것으로 보이는 철기류, 서아시아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중층유리옥이 출토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기지리유적에도 그대로 이어지며 그것이 장차 부장리 세력 성장의 지역적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철소재 혹은 철기 부장의 패턴화, 무장리 탄요의 존재, 조선시대의 철산 관련 기록 등을 종합하여 철산의 개발과 참여라는 점을 상정해볼 수 있다.
    예천동이나 기지리유적 축조 시기만 하더라도 서산에는 복수의 유력한 세력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한성기 후반에 이르러 지역 세력의 정점에 부장리 세력이 확실히 자리 잡는다. 단편적 자료를 근거로 조망해보면 백제의 중앙이 부장리 세력을 지역 대표로 인정해주고 지원해주며 그들을 매개로 지역 지배를 관철하는 방식이 활용되었을 것 같다. 부장리 세력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지녀왔던 자율성 가운데 상당 부분에 대해 제약을 받게 되었지만 오히려 백제 중앙이라는 든든한 안전판을 보유하게 되었으므로 나쁜 상황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자신들의 권위나 지위가 백제 중앙의 입장이라는 외부요인에 따라 좌우될 수밖에 없는 점이 한계였다.

    영어초록

    It appears that the ancient tombs in Bujang-ri, Seosan were built for local influential people sometime in the fifth century. Their burial pattern shows that they followed traditional customs, while the size of the tombs and the numerous objects unearthed from them attest to the authority and upper-class status of their occupants in the society of the Baekje Dynasty(18 BC~660 AD).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background to the rise of influential figures in Bujang-ri have been discovered at a historic site in nearby Yecheon-dong. Only parts of this site have been surveyed, but many of the tombs there have yielded iron nails, indicating that they date from the Iron Age. Other artifacts found there include ironware, which is presumed to have come from the northwe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ultilayered glass jade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Western Asia. Similar artifacts have been found at a site in nearby Giji-ri. Thus, it is assumed that the local basis was formed for the rise of powerful figures in Bujang-ri. It is also thought that an iron mine was developed here due to the discovery of ironware artifacts (possibly burial accessories) in the tombs, the existence of a charcoal kiln, and records about iron mines that were in operation during the Joseon Period(1392~1910).
    It is assumed that several influential factions had emerged in Seosan by the time the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sites in Yecheon-dong and Giji-ri were being carried out, and that the Bujang-ri-based faction came to occupy the highest position of local power by the late Hanseong Baekje Period(18 BC~475 AD). It is also assumed, based on the relevant material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Baekje Dynasty recognized the Bujang-ri-based faction as the representative political body of the area. It is thought that this faction viewed the central government’s recognition of it (along with its interference in local affairs) as being both advantageous, as it offered protection from external factions, and disadvantageous due to restrictions on its auton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