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論山 院北里 出土 靑銅器의 製作技術 檢討 (Study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Nonsan, Wonbuk-ri)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1.12
18P 미리보기
論山 院北里 出土 靑銅器의 製作技術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36호 / 5 ~ 22페이지
    · 저자명 : 유재은, 박장식

    초록

    이 연구는 2002년 中央文化財硏究院에서 발굴 조사한 論山 院北里 土壙墓에서 출토된 B.C. 2세기~1세기의 청동유물을 대상으로 미세조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당시 청동기 제작기술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대상유물은 동경편, 동검편 등 총 7점이다. 유물 일부에서 시편을 채취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SEM-EDS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조직은 α相과 δ相의 共析組織을 바탕으로 높은 주석함량으로 인해 먼저 성장한 δ相을 보여주고 있다. 주석함량은 銅鏡片은 약 30%, 銅劍片은 19∼20%, 銅鑿-1은 약 20%, 銅鑿-2는 26% 정도, 銅鉈는 24% 정도, 銅鉈片은 20% 정도, 劍把頭飾은 13% 정도를 나타낸다. 劍把頭飾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많은 주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조로 제작되었을 뿐 두드림이나 열처리 등 추가적인 가공은 실시하지 않았다. 특히 銅鏡片의 주석함량이 높은 것은 주석함량에 따른 색상변화를 이용한 것으로 거울 면이 은백색을 띠어 사물이 잘 보이게 한 것으로 추정된다. 銅劍, 銅鑿, 銅鉈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高朱錫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나 반면 취성의 증가로 실제 사용하였을 때 쉽게 깨지게 된다. 이러한 주석함량과 주조는 이 시기 다른 청동기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당시에 보편적으로 적용된 제작기술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manufacturing technique of bronze objects of the 1∼2 B.C. by analysing microstructure of bronze objects excavated from pit-burials of Wonbuk-ri, Nonsan, of which excavation was conducted by the Jungang Research Center of the Cultural Heritage in 2002. The number of analysed objects were 7 including bronze mirror and swords. Samples from the objects were collected for examination of microstructure of optical microscope, and thereafter their components were analysed by SEM-EDS. Microstructure displays δ phase caused by high-tin on the basis of eutectoid of α and δ phase. Tin content of mirror is about 30%; sword is 19∼20%; chisels are about 20 and 26%; hatchets are about 20 and 24%, and pommel is about 13%. Produced by casting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such as forging or quenching, the tin content of them is high except pommel. In particular high-tin mirror was intended to use the change of colour so that the mirror could reflect an object with silver-white surface. Although bronze sword, chisels, hatchets were made of high-tin, they are fragile when are used by increasing of brittleness. Considering that such high-tin content and casting technique have been displayed in other bronze objects, such technique had been common in production of bronze during th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