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迎日冷水里新羅碑>의 書風 연구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sillabi)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03
31P 미리보기
&lt;迎日冷水里新羅碑&gt;의 書風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20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이순태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신라초기에 건립된 <迎日冷水里碑>(503)의 서풍을 통해 지금까지 사학적인 측면의 연구에 비해 서예학적 측면에서 미미했던 서예부분의 단독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古新羅 서예의 참 모습을 찾아보기 위함이다.
    <냉수리비>는 영일 냉수리에 건립된 전면ㆍ후면ㆍ상면에 글자가 새겨진 三面碑다. 이 비의 건립 당시 신라는 국호를 신라로 고치고 강력한 왕권강화의 정책과 우경의 발달로 사회전반에 걸쳐 급속도로 성장하는 시기였다. 신라는 고구려를 거쳐 중국 북조와의 직접적인 교섭을 확대 시켰고 따라서 다양한 문화를 직접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사회적인 분위기와 더불어 많은 금석문이 건립되었으며 서예 또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때에 건립된 <냉수리비>의 서풍에 대한 특징을 고찰하여 고구려와 중국 북위 서풍과의 관계를 살펴 그 연원을 밝혀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냉수리비>의 서풍을 살펴, 중국 서예와는 차별이 되는 이 비만이 가지고 있는 서풍상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냉수리비>는 부정형의 사다리꼴인 비의 형태에 따라 전면ㆍ후면ㆍ상면의 장법이 각각 다르고, 자간ㆍ행간이 일정치 않아 자유분방하다. 글자 또한 대소차가 심하며 하부확대형인 비의 형태에 따라 扁方形이 주을 이루고 背勢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서체는 예서의 筆意가 가미된 해서이나 동형반복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다양하고 변화가 많아 신라서예의 다양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냉수리비>는 동시대 북위의 정연하고 균정한 서풍과는 달리, 엄격한 틀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분방하고 고졸하여 신라만의 독창성이 내재된 역동적인 서풍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냉수리비>의 독특한 서풍의 연원을 밝혀보기 위해 먼저 고구려 <廣開土好太王碑>(414)의 서풍과 비교해 보고, 2009년 발견된 <浦項中城里新羅碑>(501)와도 비교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동시대인 중국 북위의 <東堪石室銘>ㆍ<鄭羲下碑>(511)와도 비교 분석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냉수리비>의 서풍은 당시 고구려나 북위와의 직접적인 교섭으로 인해 문물과 문화를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예를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자연석의 화강암을 선택하여 비의 형태와 조화를 이루는 질박하고 꾸밈없는 서풍으로 변형 발전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중성리비>의 장법과 결구가 유사하여 그 서풍의 맥락이 같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보면 이 시기의 신라는 외래의 문화를 수용하되 그것과는 구별되는 신라만의 토속적이고 자유분방한 서풍상의 독특한 특징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예미감이 바로 <냉수리비>에서 찾고자 했던 古新羅 서예의 참 모습이라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 and origin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bi (503), which is the second oldest stele in the Silla Dynas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le is that the untrimmed natural stone in a trapezoid shape was used and that the characters were engraved on the three sides(i.e. front, back, and top sides), unlike other stelae.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characters of the front side follow the shape of the stele. Seemingly, the characters look poorly, when simp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telae. They are, however, in accord with the stele's form. In spite of the noticeable qualities, at the same time its calligraphic style still shows similarities with other Silla stelae of the 6th century.
    It cannot be deniable that part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bi is related with the those of the Northern Wei and Goguryo steles, such as the Dongkanshishiming(東堪石室銘)ㆍjeonghehabi(鄭羲下碑,511)and Gwanggaetodaewangbi (414), respectively. Of course, the stylistic similarities are caused by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the Silla with the two countries at that time.
    Above all, the calligraphy of the Yeongilnangsuribi is, however, nearly identical to that of the Pohangjungseongribi (501), which is the oldest stele in the Silla dynasty. In one word,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two Silla stelae demonstrate naive and plain tastes. It signifies that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bi rather rooted in that of the Pohangjungseongribi. The simplicity, naivety, creativity, adaptability, and harmony with the trapezoid shape stone are the very specific aesthetic sense of the calligraphy of the Yeongilnangsuribi of the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