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羅州伏岩里3號墳의 區劃築造 (The Compartment Construction of Naju Bogam-ri Tomb No. 3)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2
30P 미리보기
羅州伏岩里3號墳의 區劃築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77호 / 97 ~ 126페이지
    · 저자명 : 조영현

    초록

    이 논문은 나주 복암리3호분(羅州伏岩里3號墳)의 구획축조방식(區劃築造方式)에 관한 연구이다. 이 고분은 상부가증축된 방대형의 대형 성토분(大形盛土墳)으로, 그 안에서는 근 4백 년 동안에 조성된 삼국시대 매장유구 41기가 발굴조사되었다.
    고대의 대형분은 많은 인력에 의해 구축된 대규모 토목공사에 해당하므로 예정된 형태로 기간 내 체계적으로 축조하는 데는 여러 가지 기획과 방식이 필요하였다. 그중에서 작업할 범위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거기에 맞추어 배분된인력들이 맡은 구역별로 작업하는 이른바 구획축조방식은 이미 영남지방의 여러 대형분에서 밝혀져 있다.
    복암리3호분의 구획축조방식에 관하여 발굴보고서와 도록을 면밀히 살펴본 결과 ’96석실묘(石室墓)의 즙석상 석재군(葺石狀石材群), 방대형 성토층(方臺形盛土層), 분정 부석(墳頂敷石)에 각기 적용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중에서 성토층의 경우 단면 내 노출된 구획지점들과 이색점토대(異色粘土帶) 등 일부 구획요소들이 확인되었으나 구획된방향이나 구획 수는 알 수 없었다. 이러한 구획요소를 통해 즙석상 석재군과 분정 부석은 모두 방사상으로 구획되었고 구역 수는 전자가 12구역, 후자가 18구역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복암리3호분에는 분명한 구획축조방식이 적용되었다는 사실과 일부 구체적인 구획 양상도 밝혀짐으로써호남지역은 물론 영남지방과 일본열도의 고분 축조방식 등에 관한 비교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향후 발굴조사방법에도 구획방식과 관련된 사항이 필요불가결한 조사부분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mpartment construction method used at Bogam-ri Tomb No. 3,in Naju, Jeollanam-do, which is a huge, square mounded earthen tomb with an extended superstructure. It contains forty-one burial structures which were constructed over approximately 400 year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struction of such a massive ancient tomb is comparable to a massive public works project. It involved numerous laborers who were divided into teams for each specific compartment. Completing construction on time was a major challenge in terms of project management; it required extraordinary coordination, intricate design work, and rigorous planning. It also entailed a great deal of specialization – teams of laborers were allocated to each compartment and given tasks specific to each compartment. This method, known as compartment construction, was used at many other large tombs of Yeongnam Province.
    A careful study of the excavation report and catalogue of Bogam-ri Tomb No. 3, published in 1996, reveals that teams of laborers were allocated to each compartment to complete tasks such as laying down the paving stones on the slope of the tomb, stacking the earthen layers of the square mound, and laying stones on the top of the tomb. The earthen layers reveal that work was carried out in separate compartments, as is evidenced by the demarcated spots which can be seen in cross-section and the bands of different colored earth which were laid down by separate teams.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ascertain the direction and number of compartments. It w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number of compartments involved in laying down paving stones on the slope of the tomb and stones on the top of the tomb. The compartments were laid out in a direction radiating out from the center. The number of compartments involved was twelve for laying down paving stones on the slope of the tomb, and eighteen for laying down stones on the top of the tomb.
    These specific examples, which illustrate the use of the compartment construction method at Bogam-ri Tomb No. 3, make it possible to undertake broader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nstruction methods of ancient tombs, not only from the Honam region, but also from the Yeongnam region and Japan. They also demonstrate that extensive planning and organization of labor must be considered in all future excavations of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