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사무애(事事無礙)와 무한으로 열린 법계원융(法界圓融) - 사(事)·리(理)·법계(法界)의 개념을 중심으로 - (‘Non - obstruction among individual phenomena’ and ‘Perfect interpenetration of the dharma realm’ open to infinity. -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 of phenomena, principle, and dharma realm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38P 미리보기
사사무애(事事無礙)와 무한으로 열린 법계원융(法界圓融) - 사(事)·리(理)·법계(法界)의 개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30호 / 141 ~ 178페이지
    · 저자명 : 박수현

    초록

    본고에서는 화엄불교의 중요 이론인 사종법계설 중의 사사무애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며, 그것이 ‘특정한 관점이나 종파’가 아니라는 것과, ‘모든 관점과 종파가 원융무애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논할 것이다. 우선 사(事)·리(理)·법계(法界)의 개념을 중관과 유식을 융합한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한 후, 그것들을 사종법계의 각 단계의 적용에 적용해본다. 구체적으로 사법계를 ‘자성(自性)을 가진 개별적인 현상들’로, 이법계를 ‘단멸공’ 혹은 ‘세속제를 배제한 승의제’로, 이사무애법계를 유식적인 입장에서 ‘일체 사법을 포괄하는 진여문 · 일심’ 으로, 사사무애법계를 ‘세속제의 적극적인 활용으로서의 승의제’로 해석한다. 결론적으로 사사무애는 각기 다른 관점들과 교파들을 하나의 방편으로 보고, 다시 그것들의 특유의 위치와 역할을 다할 수 있게 하는 수단임을 밝힌다. 또한 사사무애는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과 ‘무한으로 열려 있는 다양한 관점들의 체계’임을 보이고, 그것을 일승사상과 연결하여, ‘모든 관점을 포괄하여 무한으로 연결해주는 가장 큰 관점’은 동교일승이며, ‘무한으로 열려진 관점의 실체 없음’은 별교일승임을 논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alm of non - obstruction between phenomena’ in the core theory of Huayan Buddhist, the theory of the ‘Four realms of Reality’. And it will argue that it is not concepts as entities implying a specific point of view or sect, but merely an expression of a state in which all perspectives and sects use indefinitely. It will begin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the concepts such as phenomena(事), principle(理), and the dharma realm(法界) from a new perspective that combines the Madhyamika and the Yogācāra, and will discusses how they can be applied to each stages of the ‘Four realms of reality’. Specifically, interpret ‘the realm of individual phenomena(事法界)’ as individual phenomena with intrinsic nature(自性), ‘the realm of the one principle (理法界)’ as ‘Annihilistic denial of emptiness(斷滅空)’ or ‘the ultimate truth(勝義諦) excludes the conventional truth(世俗諦)’, ‘the realm of non - obstruction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理事無礙法界)’ as ‘the true thusness aspect(眞如門)’ or ‘one mind(一心)’, and ‘the realm of non - obstruction between phenomena(事事無 礙法界)’ as ‘the ultimate truth(勝義諦) as an active use of the conventional truth (世俗諦)’. In conclusion, ‘the realm of non - obstruction between phenomena’ is a way of recognizing different viewpoints and denominations as a comprehensive method for explaining the phenomenon, and again, as a mechanism allowing them to accurately occupy their position and play a unique role. And it will argue that this realm is 'the perspective that can explain everything' and' the system of infinitely open various perspec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