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덕수리 불미 조상신 신앙 고찰 (A Study on the Belief of the Deoksuri ‘Bulmi Ancestral G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덕수리 불미 조상신 신앙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9호 / 181 ~ 205페이지
    · 저자명 : 류진옥

    초록

    본고는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의 ‘불미 조상신’ 신앙 고찰을 통하여 제주도에 전승하는 ‘도깨비 신앙’을 ‘조상신 신앙’의 하나의 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덕수리는 제주도 도깨비신앙을 대표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불미업’과의 연관성이 주요한 근거가 되는데, 현재 마을 공동체 차원의 의례는 남아 있지 않고, 본향당인 <광정당>과 <축일당> 본풀이만이 전해지고 있다. 주요한 점은 두 당 모두 ‘도체비신’을 모시는 당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일부 자료에 덕수리의 옛지명인 ‘새당’을 <광정당> 이후의 본향당으로 하여 본풀이를 전하고 있으나, 이는 사가집 굿의 신청 제차 말명으로 정리하는 것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덕수리 불미 공동체는 고사(告祀) 형식으로 ‘불미마당’을 열었던 ‘불미 주인’이 행하는 의례만을 남기고 있다. 이외 공동체 차원의 신앙 전승을 찾아 보기는 어렵다. ‘불미마당’이 갖는 비연속성과 비고정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생업공동체이긴 하지만 상시성과 지속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특정한 직업 수호신이나 그에 대한 신앙이 형성되지 못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덕수리의 대표적인 민간 신앙은 송씨 집안의 조상신인 ‘뒷하르방’이다. 집에서 일하던 하인이 후손이 없이 죽을 경우 주인집에서 그를 집안 조상신으로 모셨던 경우로 제주 무속 조상신 유형 중 하나이다. 이는 덕수리 근방의 ‘도체비당’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도체비신’을 수용하여 전승해 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Bulmi Ancestral God’ belief transmitted in Deoksuri, Andeok-myeon, Seogwipo-Si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scope of Jeju Island’s shamanistic beliefs. This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okkaebi belief’ transmitted in Jeju Island can be understood as a type of ‘ancestral god belief.’ The question is whether the deity called ‘Dokkaebi’ can become an ‘ancestral god.’ Deoksuri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egions of Jeju Island’s Dokkaebi belief. The connection with ‘Bulmi’ is the main basis, but there is currently no remaining tradition of the village community-level Dangsin belief. Only the ‘bonpuri’ of the <Gwangjeongdang> and <Chugildang> remains and has been handed down. The main point is that neither <Gwangjeongdang> nor <Chukildang> were shrines that worshipped ‘Dochebi’. Some sources say that the shrine with the same name as the old place name of Deoksuri, ‘Saedang,’ is the <Deoksu Bonhyangdang>. However, if we analyze the ‘bonpuri’ of ‘Saedang’ in detail, it is more reasonable to organize it as ‘the Sagajip Gut’, rather than the bonhyangdang rite.
    The ‘Je’ that is transmitted as a ritual at the level of the Deoksuri Bulmi community was a very brief sacrificial offering with no specific name, and was performed by the ‘Bulmi owner’ who opened the ‘Bulmi Madang.’ It is difficult to find any other religious transmissions at the level of the Bulmi community. This can be understood as being due to the discontinuity and non-fixity of the ‘Bulmi Madang’. Although it can be called a community of occupation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not being able to guarantee constancy and continuit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itual of worshipping the deity as ‘the ancestral god’ remains in the Seochon area of ​​Jeju Island when a household with an ancestor who participated in the ‘Bulmi Madang’ performs a ritual. The most strongly transmitted belief in Deoksuri is the ancestral deity of the Song family, ‘Duitharbang’. In Jeju shamanism, where a simple ritual is performed for a servant who died without descendants at the master’s house and the servant is worshipped as the household ancestral deity. Howe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eity of ‘Dochebi’ was accepted and passed down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Dochebidang’ among the bonhyangdangs in Seochon, Jeju Island near Deoksuri. The representative evidence is that ‘wildfire’ is transmitted as the core motif of several tales related to ‘Duitharbang’ or ‘Songchip Dochebi’ in Deoksu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