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재 이언적의 도학적 사유와 학술사상 - ‘독락(獨樂)’과 ‘리(理)’중시 경향을 중심으로 (Hoejae Yi Eun-jeok' Dohak and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 Centered on Doglak and Li Philosophical Tendency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회재 이언적의 도학적 사유와 학술사상 - ‘독락(獨樂)’과 ‘리(理)’중시 경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0권 / 351 ~ 379페이지
    · 저자명 : 김경호

    초록

    이 글에서는 회재 이언적이 지향했던 도학의 성격을 고찰하고, 그의 도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던 리를 중시하는 성리철학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이언적이 제기했던 ‘무극태극변’과 같은 논의가 그의 사유와 실천 속에 반영되어 있으며, ‘독락’과 같은 삶의 태도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 수행되었던 논의가 이언적의 성리철학적 성격을 탐구하는데 치중했다면, 이 논문은 그의 도학자적 삶의 태도와 지향을 성리철학과 결합하여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언적은 사화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만의 도학을 모색하고 견지했던 인물이다. 그는 중종 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의 학자들과 함께 하면서도 이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준다. 이러한 이언적의 입장은 그가 추구했던 도학의 결(성격)이 달랐음을 알려준다. 일심(一心)을 강조하였던 이언적의 심학화된 도학의 성격은 ‘독락(獨樂)’을 추구하면서 ‘독선(獨善)’을 지향했던 그의 도학자적 감성으로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 of Doak that Yi Eun-jeok aimed and analyze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that theoretically supported his Doak.Through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the discussion of Neo-Confucian philosophy such as 'Mugeuktaegeukbyeon', which Yi Eun-jeok learned, is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ractices and is revealed as a life attitude like 'Dokrak'. Yi Eun-jeok observes his Dohak through many ups and downs as he lives through the era of saga. He pursued Dohak with Cho Kwang-jo, which was the mainstream in Jungjong’s reign, but walking on another path shows that Dohak was different. However, his pursuit of Doglak when he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Gimyosahwa and taught students while studying Sohak shows the Dohak's practice of Dokse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Yi Eun-jeok' Dohak could be mentioned in the Dotong line wa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s excellent pilosophy of neo-Confucianism. Yi Eun-jeok participated in the 'Mugeuktaegeuk' debate, which was discussed by Son Jung-don and Joe Han-bo, and conducted the first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debate in Korean Confucian History. In this argument, the 'Li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aegeuk', which Yi Eun-jeok raised, played a decisive role in establishing the Li Philosophy genealogy of Korean Confucianism in the future. In addition, by strongly criticizing the thoughts of Buddhism or Taoism, which were still present in this debate, it clearly shows the viewpoint of criticism of heresy to protect Confucian values and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