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Emblem of Nableung Gate Originated in Ayodhy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5권 / 3호 / 47 ~ 80페이지
    · 저자명 : 이거룡

    초록

    1977년 이종기의 『가락국 탐사』(駕洛國探査) 이래 쌍어문(雙魚紋)과 허황옥에 관한 김병모의 고고학적 연구 결과는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으며, 납릉정문(納陵正門) 신어(神魚)의 아요디야(Ayodhya) 유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문화전파론에 의거한 김병모의 연구는 이 두 곳 신어상과 쌍어문의 기원과 유래를 간과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지적되었다. 한편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가능성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단지 납릉정문이 조선 중기에 건축되었기 때문에 납릉정문 신어와 고대의 가락국 또는 가락국과 아요디야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납릉정문 부조에서 신어의 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부조의 변형과정과 세부 내용에 대한 오해도 살펴보았다. 부조 전체의 콘텍스트에서 납릉정문 신어가 지니는 의미를 규명했으며, 현지답사를 토대로 아요디야 쌍어문의 특징적인 양식뿐만 아니라 기원과 유래를 규명하였다. 쌍어문은 아요디야뿐만 아니라 인접한 파이자바드(Faizabad)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대개 오래된 건축물의 정문 위에 조성되어 있다. 쌍어문이 있는 건축물의 역사로 볼 때, 아요디야 쌍어문의 조성시기는 대체로 19-20세기 초이며, 파이자바드의 쌍어문은 이보다 1-2세기 이른 18-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와 파이자바드에 쌍어문이 나타난 것은 18세기 이후라는 사실로 볼 때, 납릉전문의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그 외양이나 의미에서도 이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납릉정문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으며, 납릉정문 신어상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전제로 한 김병모의 ‘허황옥루트’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publication of Jong-ki Lee's Garakguk-tamsa(Exploration of Gaya Kingdom) in 1977, the results of Prof. Byeong-mo Kim's archaeological research have been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 and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Tomb of King Suro of Gaya Kingdom) Gate originated in Ayodhya of India was taken for grant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scholars who deny the possibility that the Divine fish originated in Ayodhya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and the twin fish of Ayodhya because the Nableung Gate was built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originated in Ayodhya.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was identified in the relief of the Nableung Gate, and in this process, we looked a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details of the relief. I tri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entire relief, and examined the orig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the twin fish in Ayodhya based on the results of my field trip in Ayodhya and Faizabad.
    Twin fish emblem is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Ayodhya but also in adjacent Faizabad, and is usually built on the main gate of old buildings. The history of the gates of the buildings suggests that Ayodhya's twin fish emblems were formed in the early 19-20th century, while Faizabad’s ones were formed in the 18th-19th century. It is unlikely that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buildings was introduced to Gaya Kingdom along with Huh Hwang-ok,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win fish emblem appeared in Ayodhya and Faizabad after 18th century.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and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