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령왕릉 묘지석의 제작 과정과 배치 변화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Change of Arrangement of the Epitaph Plaque of King Muryeong’s Tomb)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8
30P 미리보기
무령왕릉 묘지석의 제작 과정과 배치 변화와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4호 / 367 ~ 396페이지
    · 저자명 : 崔珉熙

    초록

    1971년 무령왕릉에서 무령왕과 왕비지석이 발굴되었는데 당시 연도 바닥에 놓여있었다. 무령왕이 모셔지던 1차 상장례 당시에 지석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었는지에는 관심이 없었을 뿐 아니라 지석의 배치가 내용 파악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의식하지 않았다. 또한 묘지석을 구성하고 있는 왕지석․왕비지석․간지도·매지권을 각각으로 인식하고, 이들이 연결된 문건일 가능성은 염두에 두지 않았다.
    이글에서는 비록 묘지석 각각에 제목은 붙어있지 않지만 내용상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 타진에중점을 두고 접근하였다. 그 시작으로 먼저 1차 상장례 때에 제작된 게 명확한 왕지석과 매지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석의 마지막 ‘(입지立志)여좌(如左)’의 ‘좌’그리고 매지권의 앞부분‘우일건(右一 件)’의 ‘우’에 초점을 맞추었다. ‘좌’는 다음 문건인 매지권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여 ‘다음’ 으로, ‘우’는 지석의 좌에 대구가 되는 ‘앞의’로 해석하고 왕지석 즉 무령왕 상장례 문건을 의미하는것으로 보았다. 이는 전통적 문건에서 문장을 작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하나의 양식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무령왕릉이 발견될 당시의 묘지석 배치에서도 그대로 성립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묘지석들에 나타나있는 계선을 분석함으로써 왕지석은 매지권과, 왕비지석은 간지도와 함께작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였다. 글자들을 대비시켜 분석함으로써 왕지석과 매지권은 1차 상장례 때에 함께 작성되었음이 드러났다. 또 언제 작성되었는지 문제가 되는 간지도의 경우 2차 상장례 때 왕비지석과함께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왕지석 뒷면에 간지도를, 매지권 뒷면에 왕비지석을 배치할 수 밖에 없었던 까닭도 추론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2차 상장례가 있은 다음에 배치된 묘지석들에서도 ‘좌’ ‘우’ 등의 연관성은 그대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왕지석과 왕비지석을 읽는 시점은 매지권과 간지도를 읽는 시점 방향과 다르다는 사실도 밝혔다. 그 이면에 간지도에서 글자가 새겨지지 않고 비워둔 방향을 원용하여, 간지도는 왕릉 영역이라는 왕과 왕비의 공간과 명부세계 신들의 공간과의 경계를상징한다고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e Epitaph Plaques of the king and the queen were excavated at King Muryeong’s Tomb in 1971. They were found on the entrance passage at the time. No attention was given to the position of the Epitaph Plaque during the funeral of King Muryeong and how important the arrangement of the Epitaph Plaque i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was not recognized. Also, each Epitaph Plaques were taken as individual pieces without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y might form a single document together.
    This study placed emphasis on examine the possibility of having a connection in content in approaching the subject matter. First, the Epitaph Plaque(King) and the land purchase record were examined. The focus was given to ‘Jwa (左)’ from the last line of the epitaph, ‘Ipjiyeojwa (立志如左)’ and ‘Wu (右)’ from the beginning of the land purchase record, ‘Wuilgeon (右 一件).’ ‘Jwa’ was interpreted as ‘next’ for it was understood as it indicates the next document, the land purchase record, and ‘Wu’ as ‘previous’ as the antithesis of ‘Jwa’ indicating the Epitaph Plaque (king). This is the format often used traditionally when writing documents.
    The ruled lines that appear on the Epitaph Plaques were analyz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Epitaph Plaque(King) was created with the land purchase record and the Epitaph Plaque(Queen), with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It was clarified that the Epitaph Plaque(King) and the land purchase record were created during the primary funeral ceremony by contrasting the letters. For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for which when it was created is an issue,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very likely that it was created with the Epitaph Plaque(Queen).
    The reasons they had to place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on the back side of the Epitaph Plaque(King) and Epitaph Plaque(Queen), the land purchase record, were also inferred. At the same time, it was made clear that the reading direction for the Epitaph Plaque(King) and Epitaph Plaque(Queen) is different from that for the land purchase record and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It was interpreted that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symbolizes the king’s tomb, the spaces of the king and queen, and the space and border of the gods of the other world by quoting the direction in which letters are not inscribed on the drawing of the sexagenary cy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