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르 코르뷔지에의 자연관에 대한 비판의 전개 양상 (Development of Criticisms on Le Corbusier’s Perspectives on Natur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10P 미리보기
르 코르뷔지에의 자연관에 대한 비판의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37권 / 6호 / 117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민

    초록

    지금까지 르 코르뷔지에는 근대 건축을 자연으로부터 분리시킨 장본인으로 비판받아왔다. 하지만 정작 르 코르뷔지에는 건축과 자연의 단절을 구체적으로 언급된 적은 없을뿐더러, 오히려 자신의 건축이 자연환경과 긴밀히 연결된다고 생각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르 코르뷔지에의 자연관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기원과 비평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는데 있다. 1920년대 르 코르뷔지에의 추상적이며 기계적인 건축에 반영된 자연에 대한 태도는 유기적 건축을 주창하던 하링과 라이트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후 히치콕과 기데온의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해석은 그의 이론과 실천에서 건축과 자연의 분리되어있다는 편견을 강화시킨다. 1930년대 이후 자연에 대한 르 코르뷔지에의 태도는 크게 변화하지만, 1920년대 그의 작품과 이론의 국제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그의 비판자와 지지자들 모두 르 코르뷔지에를 1920년대의 이미지에 고착화된다. 1960년대 로우와 아이젠만이 제시한 르 코르뷔지에의 새로운 이론적 해석은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꾸기보다는 오히려 더 고착화시킨다. 1970년대 로우는 기데온의 르 코르뷔지에에 대한 해석을 도시로 확장시키며 추상적 건축의 전형을 완성시킨다. 1980년대 이후 경관에 대한 르 코르뷔지에의 사유와 작업을 재평가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그의 자연에 대한 이론가들의 관점이 크게 변화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근대적 경관의 틀을 형성하는데 르 코르뷔지에가 미친 영향과 기여는 여전히 새롭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Until now Le Corbusier has been accused of the sin separating modern architecture from nature. However, Le Corbusier had never insistedthat his architecture was disconnected from the outer world, rather he had tri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environment and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where the negative perception of Le Corbusier’s perspective on nature wasoriginated from and how it had been developed. In the 1920s, Le Corbusier’s attitude on nature reflected in his abstract and mechanicarchitecture was blamed by Häring and Wright who supported the concept of Organic Architecture. Later on, the interpretation of Hitchcockand Gideon strengthened the bias on the separ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in Le Corbusier’s theory and practice. Even though LeCorbusier’s attitude towards nature had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1930s, the schema of the 1920s was fixed by both his supports anddissenters as his international influence of works and theory of the 1920s became greater. New theoretical interpretation on Le Corbusier inthe 1960s, suggested by Rowe and Eisenman did not change the stereotype view but reinforced it. In the 1970s Rowe provides a completeversion of abstract schema on architecture and nature by expanding Gideon’s interpretation of Le Corbusier to the city. After the 1980s, therehave been ongoing efforts to reevaluate Le Corbusier’s thoughts and works on the landscape, it is hard to say that the theoretical view onhis perspectives on nature is changed much. Le Corbusier’s influence and contribution on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modern landscapestill remains to be further discov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