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Althusser et Ranciè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09
28P 미리보기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시대와 철학 / 21권 / 3호 / 181 ~ 208페이지
    · 저자명 : 박기순

    초록

    이 논문은 알튀세르에 대한 랑시에르의 비판과 결별을 되돌아보면서,그것이 랑시에르의 사상적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알튀세르는 20세기의 대표적인 맑스주의 철학자였으며, 맑스주의에 대한 그의 독특한 독해는 ‘주체도 목적도 없는 과정’,‘중층결정’, ‘호명된 주체’, ‘우발성의 유물론’ 등의 개념적 유산들을 우리에게남겨주었다.
    랑시에르는 1970년대 중반 『알튀세르의 교훈』이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스승인 알튀세르와 결별한다. 그의 비판은 매우 단호하고 신랄하였다. 이것은 이 결별이 되돌이킬 수 없는 것임을 암묵적으로 의미한다. 실제로 랑시에르는 그 이후에도 자신의 이러한 비판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신의스승과의 어떤 화해의 노력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 글에서, 그 결별 이후 그것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두 철학자를 대신해서 어떤 화해와 만남을 시도하기보다는 그 차이와 결별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사유함으로써, 첫째로, 알튀세르에 대한 비판이 랑시에르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둘째, 두 철학자가 공통의 사유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바로 거기에서 갈라서고 있는 문제, 즉 정치에 대한 사유, 혹은정치와 철학과의 관계의 문제를 재사유해보고자 한다.
    알튀세르의 랑시에르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알튀세르주의는 사회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의 논리, 불평등의 논리로서, 대중의 정치를 사유할 수 없는 치안(police)의 논리이다. 둘째, 알튀세르에게수미일관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은 ‘이론적 실천의 자율성’ 혹은 ‘철학의자율성’이다. 이 철학의 자율성 속에서 정치 개념으로서의 계급투쟁은 한 갓철학적 범주로 전환되고, 그렇게 정치는 철학 속으로 봉합된다.
    랑시에르는 『프롤레타리아의 밤』(1981), 『무지한 스승』(1987), 『불화』(1995) 등의 책에서 이러한 알튀세르 사상에 반대하면서 대중운동은 무엇보다도 지적운동이었다는 점, 따라서 정치는 그가 ‘근원적 평등’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며, 철학은 이 역설적인 문제로서 등장하는 평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주장하게 된다.

    영어초록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e mettre en clair les effets produits par la critique faite par Jacques Rancière de Louis Althusser, son maître, sur l'évolution de ses pensées philosophiques et sur leur direction. Comme on le sait bien, L.
    Althusser est sans doute l'un des représentants de la philosophie marxiste qui a produit les concepts tels que ‘procès sans sujet ni fin’, ‘sujet interpelé’, ‘matérialisme de l'aléatoire’etc.. J. Rancière a rompu avec L. Althusser en publiant La leçon d'Althusser en 1974. Ses critiques à l'égard de son maître ont été si déterminantes et si sévères que sa séparation avec L. Althusser semblait irréversible. En effet, il n'a jamais revisité cette séparation pour se concilier avec son maître.
    Nous ne voulons pas, à notre tour, tenter dans ce présent écrit leur conciliation philosophique pour deux philosophes qui se taisent sur l'événement philosophique qui les a séparé.
    Au contraire, nous pensons qu'il nous est plus utile de mettre au point la différence entre deux en tant que telle. Ce faisant,nous voulons, primo, montrer que la critique ranciérienne de L. Althusser est détermiannte pour la compréhension des pensées philosophiques de J. Rancière, et, secundo, poser ànouveau comme notre question philosophique ce qui a étécentral pour deux penseurs, mais sur quo ils s'est séparés,c'est-à-dire la pensée de la politique, ou plus précisément la relation entre philosophie et politique.
    Les critiques ranciériennes de L. Althsser se résument en deux points. Primo, l'athussérisme est une logique qui introduit une division dans la société civile, et pour cette raison mérite d'être appelée logique du partage et de l'inégalité. Or, cette logique inégalitaire, selon J. Rancière, fait disparaître la politique. Secundo, ce qui est maintenu dans tout l'ouvre de L. Althusser est l'autonomie de la pratique théorique ou de la philosophie. C'est dans cette autonomie, dit J. Rancière, que la lutte des classes comme une catégorie de la politique se transforme dans celle de la philsophie, et que la politique se sature donc dans la philosophie.
    J. Rancière oppose à ces idées althusséirennes ses thèses propres qui s'élaboreront après la séparation dans ses oeuvres telles que La nuit des prolétaires, Le maître ignorant, La mésentente etc.. Il affirme contre L. Althusser que le mouvement des masses est avant tout intellectuel,que la politique doit être pensée à partir de ce qu'il appelle ‘égalité fondamentale’, et que la philosophie a pour objet l'égalité qui apparait sous le signe d'un paradox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대와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