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후에 나타나는 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with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Unexposed to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s)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11
8P 미리보기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후에 나타나는 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22권 / 4호 / 155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아람, 김주현, 백지현, 김지선, 최미지, 윤세창, 하규섭, 홍경수

    초록

    양극성 장애 환자의 치료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atypical antipsychotics,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SGAs) 은 조증 및 우울증의 증상 조절에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1) 또한, 정형 항정신병약물(typical antipsychotics,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s, FGAs) 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급성 추체외로계 부작용(extra-pyramidal adverse effect)의 발생 위험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이러한 점은 지연성 운동 증후군(tardive movement syndromes)의 발생 위험성 역시 낮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했다. 그러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후에 나타나는 지연성 운동 증후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6) 지연성 운동장애(tardive dyskinesia)에 대한 연구는 대다수가 정형 항정신병약물이 많이 사용되던 1980~1990년대에이루어졌다. Dinan과 Kohen7)이 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며 외래를 다니는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결과 지연성 운동장애의 유병률은 22%였으며, Waddington 과 Youssef8)가 입원하고 있는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조사한 결과는 40%에 이르렀다. 반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치료 환자에서 보고된 지연성 운동장애의 발생률은 정형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Eberhard 등9) 은 2주 이상 risperidone으로 치료받고 있는 조현병 및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5년간의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여12.6%의 지연성 운동장애 발생률을 보고하였다. Ghaemi 등10) 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는 양극성 장애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는, 총 51회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시행이 있었고, 이 중 4회에서 지연성 운동장애가관찰되었다(7.8%). 가장 최근의 연구11)는 268명의 기분장애또는 불안장애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한 환자들의후향적 분석으로, 5.9%의 지연성 운동장애 유병률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지연성 운동장애를 직접 비교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또한, 그동안 시행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에 의한 지연성 운동장애 연구에서는 대다수의 환자가 정형항정신병약물에 상당 기간 노출되었던 과거력을 가지고 있다.9-12) 이러한 제한점은 유병률 및 관련인자에 관한 타당한평가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발병 초기부터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만 치료받은 환자에서 지연성 운동장애의유병률과 위험 요인을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연성 근긴장이상에 대한 연구는 지연성 운동장애에 비해 매우 적고, 일관된 평가 도구가 없어 유병률 추정이 어렵다. Van Harten과 Kahn13)이 1982년부터 1996년까지 발표된정형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하는 조현병 환자 대상의 13개 연구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지연성 근긴장이상(tardive dystonia) 의 평균 유병률은 5.3%였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치료 이후 나타난 지연성 근긴장이상은 조현병에서 소수의 증례 보고14-16)만이 발표되었을 뿐이다. 양극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유병률이나 위험 요인에 대한 임상 연구는물론이고 아직까지 증례 보고조차 되어 있지 않다.
    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은 임상 양상이나경과에서 차이가 나고 위험요인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 그러나, 두 운동장애는 감별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같은 환자에서 동시에 발생하기도 한다.19) 특정 집단에서 두 장애의 발생의 상호 연관성이 보고되기도 하였다.20)21) 따라서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을 동일한 대상군에서평가하여 유병률과 위험 요인들을 비교 평가하고,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발병 이후 정형 항정신병약물치료를 받은 적이 없고 3개월 이상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치료받아 온 양극성 장애 혹은 조현정동장애 환자를 대상으로대표적 지연성 운동 증후군인 지연성 운동장애와 지연성 근긴장이상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임상적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울러, 연구 대상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들이 지연성 운동장애 및 지연성 근긴장이상의 발생에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SGAs) are frequently used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sensus on their risk of tardive movement syndromes especially for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s (FGAs)-naïve pati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SGAs-related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in a naturalistic out-patient clinical setting.
    Methods:The authors assessed 78 non-elderly patients with bipolar (n = 71) or schizoaffective disorder (n = 7) who received SGAs with a combined use of mood stabilizers for more than three months without previous exposure to FGAs. Multiple direct assessments were performed and hospital records longer than one recent year describing any observed tardive movement symptoms were also reviewed.
    Results:The prevalence rates of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were 7.7% and 6.4%, respectively. These patients were being treated with ziprasidone, risperidone, olanzapine, quetiapine, or paliperidone at the time of the onset of the movement symptoms. Tardive dyskinesia was mostly observed in the orolingual area, and tardive dystonia was most frequently detected in oromandibular area.
    A past history of acute dyston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sence of both tardive movement syndromes.
    Conclusions:Our findings suggest that SGAs-related tardive movement syndromes occur in a substantial portion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Acute dystonia, a reported risk factor of tardive movement syndromes in the era of FGAs is confirmed as a risk factor of both tardive dyskinesia and tardive dystonia that were induced-by SG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물정신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