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타트업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금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Business Start-up Financing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03
23P 미리보기
스타트업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금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 수록지 정보 : 취업진로연구 / 6권 / 1호 / 23 ~ 45페이지
    · 저자명 : 원준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start-up) 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해 정부의 공공정책적인 측면으로 중소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에서 운용중인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스타트업기업을 대상으로 하여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융자금융 및 투자금융 등 창업금융 및 성과를 살펴보았다. 민간금융 차원에서는 스타트업 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또다른 전제조건중 하나인 벤처캐피탈 및 엔젤투자 현황 등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또한 글로벌 경기불황의 장기화 및 불확실성에 따른 신성장 산업 육성 및 실업율 해소 강구 방안이 각국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안중에 하나인 스타트업기업 육성이 집중 조명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도 이러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실업률 제고 및 성장동력으로서 스타트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책인자들을 개선 및 보완하고 있으며, 기술력이 우수한 예비창업가 및스타트업기업 육성에 지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스타트업기업 육성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고, 선도적인 육성시스템을 보유한 미국, 핀란드의 스타트업기업 창업금융 지원시스템사례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따라서 스타트업기업의 창업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창업금융이 미치는 영향과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스타트업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를 위한 창업금융의 효율적 운영방안으로서 우선, 역량 있는 지역엔젤클럽의육성을 통한 창업금융 재원 마련이 필요하며 둘째, 스타트업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한 “공공 크라우드펀드” 마련 셋째, 창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 및 DB 강화 넷째,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기업가 정신 고취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강화 필요 마지막으로, 스타트업기업 기술이전 전담조직 체계재구축 및 강화 등 정책적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창조산업생태계 조성과 지원을 위한 스타트업기업에 대한 창업금융의 구체적인운영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청년스타트업기업을 지원하고 있는 창업지원정책 중에서도 창업금융지원체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금융지원의 양적 증가도 중요하지만 질적 측면의 기술혁신 평가를 통한 자금지원 확대, 부처 간 유기적인 협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원활한 협조를 통한 효율적인 자금공급확대 등으로 창업금융지원의 토대 마련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at the business start-up financing including loan support and investment financing and the achievement of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s public policy perspectiv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o start-ups which joined leading universities for business start-ups and start-ups which joined the Youth Start-up School run by Small & Medium Business Corporation (SBC)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From the private financing perspective, this study looks at the current state of venture capital and angel investment, which are prerequisite for vitalization of start-ups. In particular, nurturing of start-ups, which is one of the alternatives, is in spotlight when nurturing new growth industry and solving unemployment rate problem have become a major issue f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due to prolonged economic downturn and uncertainty. With this sense of crisis, advanced countries are improving and supplementing policy factors closely related to start-ups as a means to improve employment rate and growth engine and actively supporting the excellent potential entrepreneurs and start-ups with technological capability. In relation to this, this paper looks at the business start-up financing system in the US and Finland, where start-ups are nurtured very actively and advanced nurturing system is in pla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impact of business start-up financing among various factors on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and policies that can utilize the financing efficiently.
    This paper presents measures to operate start-up financing efficiently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business start-ups. First, financing through capable regional angel clubs is required.
    Second, Public Cloud Fund should be established to commercialize ideas from start-ups.
    Third, various networks should be established and DB should be strengthened to promote starting business. Fourth, system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among founders of business start-ups should be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Finally, technology licensing office (TLO) system should be re-established and strengthened for start-up companies.
    In addition, this paper looks at the ways to operate start-up financing specifically to create and support creative industrial ecosystem. In particular, quantitative growth of financial suppor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start-up financing support system. But it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start-up financing by expanding financing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valuation from qualitative perspective and through cooperation among different government ministri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취업진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