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PT 모형을 이용한 채권포트폴리오 수익률 분석 : 거시경제요인을 중심으로 (Bond Portfolio Return Analysis Using the APT Model with Macro Factor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3.06
37P 미리보기
APT 모형을 이용한 채권포트폴리오 수익률 분석 : 거시경제요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7권 / 2호 / 43 ~ 79페이지
    · 저자명 : 김명옥, 최영민

    초록

    적극적 운용을 기반으로 하는 채권형 펀드의 성과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우선 채권포트폴리오 기대수익률 결정모형의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나, 현재까지 채권투자자의 투자성과에 대해 횡단면적 비교를 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모형이 결여되었다. 본 연구는 채권포트폴리오 수익률 결정모형으로 기존의 시장지수 요인과 더불어 거시 경제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차익가격결정모형(APT)의 적합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채권형 펀드성과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거시경제요인의 선정은 특정 거시 경제변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전체 거시경제변수로부터 주성분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효한 주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국내 채권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통계적으로 유효한 거시 경제요인으로 성장요인과 인플레이션요인을 추출했고, 추출한 거시경제요인 및 시장 지수요인을 포함한 차익거래 가격결정모형에서 채권 포트폴리오 기대수익률에 대한 APT 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였다. 둘째, 채택된 모형을 바탕으로 2004년부터 2010년 국내에서 운용된 채권형 펀드의 성과를 평가한 결과, 채권형 펀드 수익률의 알파 값은 유의한 음(-)의 값으로 나타나 적극적 운용이 패시브 전략의 기대수익률 대비 초과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셋째, 적극적 운용의 대가로 투자자가 지불하는 보수를 차감하기 전의 성과도 역시 패시브 전략의 기대수익률을 초과하지 못하였다.

    영어초록

    During the past ten years, as the market of the bond fund has experienced its cyclical growth and recession, the aggressive short-term trading has been a general practice to manage a bond fund. And this practice contributed some to impede empirical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bond funds. For more accurate evaluation, it is necessary and crucial to have an adequate model which determines the expected return of bond portfolios. However, there has been no generally acceptable model which can successfully provid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of bond funds.
    Early research on bond fund performance generally used single index or multi index models to predict the theoretical expected return and then measure the abnormal return via Jensen’s alpha. We employed both market index returns and fundamental variables as factors to explain passive portfolio return to see whether the macro factors have explanation power for expected retur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ternally selecting fundamental variables, we utilized the whole set of fundamental variables to extract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macro factors using Principal Factor Analysis.
    Main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we extracted two principle factors from the whole set of fundamental variables, growth factors and inflation factors, and constructed an APT model consisting of the macro factors and market indices as its factors. We apply the model to examine the returns of the passive portfolios. The model does not reject the APT hypothesis, and displays the highest ex-post explanatory power for explaining the time-series of the expected return than the other proposed models. Second, the growth factor and inflation factor together contribute 18% to explain the risk premium of the bond portfolios and it is higher contribution than that of the KOSPI and term risk. Third, we employ the parameterized APT model to evaluate the active bond fu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oposed model, the alpha return of the public funds exhibit significantly negative estimate but the estimate of the private fund is not significant. That is to say the realized returns of the public funds are significantly less than the expected return from the model, and the realized returns of the private funds are not much different with the expected returns of the model. Fourth, unlike the expectation that the active portfolio management of a fund manager would result in a better return than the passive portfolio of buy-and-hold strategy, even the return before fee subtraction failed to earn an excessive retu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