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 및 국민소득 추정: 1956~1989년 (Estimating Long-term Economic Growth and National Income in North Korea: 1956-1989)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1.03
45P 미리보기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 및 국민소득 추정: 1956~1989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학연구 / 69권 / 1호 / 5 ~ 49페이지
    · 저자명 : 조태형, 김민정

    초록

    본고는 1956~89년중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을 추정한 것이다. 곡물, 석탄, 철강, 전력, 시멘트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 정보를 역사적으로 재구성하여 농림어업, 광업, 경공업, 중화학공업,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정부서비스업 등 7개 산업의 성장률을 추정한 다음, 연쇄라스파이레스 지수공식에 의거하여 전체 경제성장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1956~89년중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연간 4.7%로 추정되었다. 이는 기존의 대표적 연구인 Kim, Kim, and Lee(2007)의 추정치 4.2% 와 대체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시기별로 보면 1950년대 후반에는 연간 13.8%의고성장을 달성한 반면, 1960년대 들어 4%대로 낮아진 데 이어 1970~80년대에는 2%대의 저성장이 지속되었다. 즉, 1990년 이전 북한의 경제성장은 ‘일회성 고성장(one big jump)’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산업별로 보면, 1956~89년에 걸쳐 광공업이 연간 7.3%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 반면, 농림어업과 서비스업은 각각2.5% 및 4.6%로 낮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이러한 광공업 중심의 성장으로 인해북한경제는 공업부문에 대한 과잉 투자와 산업간 불균형이 초래되었다. 한편, 미달러화 기준 1인당 실질GNI를 추정하여 남북한 소득을 비교한 결과, 남한의 1인당 소득은 1960년대 중후반 북한을 앞지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북한의 1 인당 실질GDP 성장률을 사회주의국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북한의 성장실적은상대적으로 더욱 부진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stimates North Korea’s long-term economic growth rate from 1956 to 1989. After reconstructing production data series for major products such as grain, fabrics, coal, steel, electrical power, cement, etc., each industry’s GDP growth rate is estimated by linking relevant production data to that specific industry’s added value. Seven industries are considered: agriculture, forestry & fishing; mining; light industry; heavy chemical industry; electricity, gas & water supply; construction; and government services. Based on industry-specific growth rates, the growth rate for the total economy is computed using the chained Laspeyres index number formula.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economy is estimated to have grown on average at 4.7% annually from 1956 to 1989. This is roughly similar to the 4.2% for the same period suggested by Kim, Kim, and Lee (2007), a representative study in the field. By period, the economy achieved a high annual growth rate of 13.8% in the late 1950s, while it fell to the 4-5% range in the 1960s and further diminished to grow at a rate of 2-3% in the 1970s and 1980s. In other words, the economic growth of North Korea before 1990 can be interpreted as “one big jump.” By industry, mining and manufacturing grew at 7.3% annually over the whole period, while agriculture, forestry & fishing and services grew at 2.5% and 4.6%, respectively. The mining and manufacturing-centered growth in the economy resulted in excessive investment in the same industries and an imbalance in growth among all the industries. Meanwhile, this paper shows that South Korea’s per capita income, in terms of real GNI denominated in U.S.
    dollars, is estimated to have surpassed that of North Korea in the mid- to late 1960s. In addition, North Korea’s real GDP per capita grew relatively sluggishly compared to other socialist country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