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타일 투자수익률의 계절적 주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 Return Seasonality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4.06
16P 미리보기
스타일 투자수익률의 계절적 주기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21권 / 3호 / 93 ~ 108페이지
    · 저자명 : 우원석, 이민, 최형석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산 배분의 중요한 기준점이 되는 스타일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계절적 주기성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82년부터 2013년까지 기업 규모와 장부가치-시장가치 비율을 기준으로 여섯 개의 스타일 포트폴리오를 나누고 기업의 규모와 과거수익률을 기준으로 또 다른 여섯 개의 스타일 포트폴리오를 나누어 월별 수익률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소형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는 잘 알려진 양(+)의 1월 효과뿐만 아니라 8월과 9월에 평균수익률보다 작은 음(-)의 계절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횡단면적으로 스타일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6월에 가장 작고 12월에 가장 큰 계절적 변동성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이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무자본 스 타일 전환 투자전략은 연 평균 14.2%의 수익률을 내었다. 이러한 투자 수익률을 Lo and MacKinlay (1990)과 Conrad and Kaul (1998)의 방법에 따라 예측성 지수(predictability index)와 확산성지수(dispersion index)로 분해해본 결과 예측성 지수가 98.5% 가량의 투자수익률을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건성 검증을 위해, 한국표준산업분류9차(대분류)에 따른 산업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무자본 산업 전환 투자전략 수익률을 구해 확인한 결과 연평균 23%에 달하는 수익을 얻었으며, 이러한 수익의 97% 이상은 예측성지수에 의해 설명되었다.

    영어초록

    Investors group assets into different classes based on some similarity among them. For example, stocks can be categorized into broad classes such as small versus large stocks, value versus growth stocks, prior winners versus losers, or categorized by different industry sectors. The asset classes are called “styles” and the process allocating money among styles is called “style investing” and investors must consider styles because portfolio allocation among different styles is required by law. Much of academic literature has shown that certain styles outperform other styles in the long run. In particular, small-cap (value) stocks outperformed large-cap (growth) stocks historically. However, the relative performance between these styles is not stable over time. Chan et al., (2000), for example, show that large-cap (growth) stocks outperform small-cap (value) stocks in 13 years (8 years) out of their 29 year sample period from 1970 to 1998. Style based strategy can produce long periods of poor performance. Thus, style rotation strategy, switching from one style to another, could generate additional returns when we can forecast the relative performance between styles.
    In this study, we examine seasonal patterns in the cross-section of expected returns on twelve style portfolios that we composed from daily return data for stock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KRX). We find that style returns exhibit substantial variations across calendar months. For example, over the sample period of January 1982 to December 2013, in January the mean return of the Small/Neutral portfolio is 6.2 percent and that of the Big/Up portfolio is only 2.3 percent. In March, however, the mean return of the Small/Neutral portfolio is -0.6 percent and that of the Big/Up portfolio is 2.5 percent.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literature on seasonality in stock returns which suggests the outperformance of some style against another in a specific calendar month. For example, Keim (1983), Reinganum (1983), and Roll (1983) find that small-cap stocks outperform large-cap stocks in January. Branch (1977) and Dyl (1977) suggest that tax-loss selling creates a downward price pressure on loser stocks in December and a price rebound in January. Lakonishok, Shleifer, Thaler, and Vishny (1991) find that pension funds dump prior loser stocks at the end of every quarter. However, these studies explored only the turn-of-the-year period or the end of each quarter. Our finding shows that the seasonal pattern of the style returns is not limited to January or the end of each quarter. Small stocks perform poorly in August and the Big/Down portfolios beat the market in July.
    We employed the style rotation strategy suggested by Choi(2014) using the seasonal patterns among style returns. We take the long positions of styles with good performance in a specific calendar month and the short positions of styles that have done poorly in the same calendar month. For example, we rank the twelve style portfolios according to their average returns during the previous five Januaries to construct a zero investment portfolio for the next January. We repeat this for each of twelve calendar months. The strategy yields profits across all calendar months except August. Specifically, the mean profit in January alone is 5.8 percent. Overall, our seasonal strategy yields economical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fits of 14.2 percent per year. The possible source of the profit from our strategy is seasonal autocorrelation in style returns (predictability component) or cross-sectional variation (dispersion component) in mean style returns as suggested by Lo and MacKinlay (1990) and Conrad and Kaul (1998). The decomposition of the profit shows that the main source of the profit is the predictability component. The predictability component explains more than 90 percent of the profit in every calendar month.
    In order to check the robustness of seasonal regularities in style returns and the profitability of our zero-investment strategy, we extended our approach to the sector portfolios. The strategy based on the one-year historical performance in each month yields profits of 21.7 percent in January and 28 percent annually but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e to the large volatility. However, when we construct the strategy with 5 or 10 year historical performance in each month, the strategy yields annul profit of higher than 20 percent,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ecomposition of the profit shows that the main source of the profit is the predictability component as well. Therefore, the seasonal patterns among style returns have significant power to forecast future relative style performance, which would be inconsistent with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