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환경변화와 TV시청률을 이용한 통합시청률 추정: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장르를 중심으로 (An Estimation of Gross TV Rating(GTR) by TV Rating: Focused on TV Drama & Variety Program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7.06
18P 미리보기
미디어 환경변화와 TV시청률을 이용한 통합시청률 추정: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장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4권 / 2호 / 4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효규

    초록

    방송 통신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미디어의 확산으로 방송 콘텐츠 소비 행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TV 수상기를 통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던 전통적인 시청자들이 PC나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과거에 없던 방식으로 자신들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시청하는 형태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기존의 TV 시청률을 보완하는 통합적인 TV 시청률을 산출하려는 시도들이 정부를 비롯하여 관련 학계 및 업계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05명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장르와 방송 유형별로 성별, 연령대별 방송 프로그램 소비 행태를 분석하고 있다. 드라마보다 버라이어티 장르에서, 그리고 지상파 방송보다 케이블/종편의 프로그램 경우에서 TV를 통한 실시간 시청이 아닌 비전통적인 방식의 시청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가 남녀 간에는 뚜렷해보이지는 않았지만, 연령대별 차이는 선명해 보였다. 중장년층은 여전히 전통적인 TV 시청형태를 선호하는 반면 젊은 층은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 시청에 익숙해져 있었다.
    기존의 TV 시청률과 실시간 TV 방송 시청비율의 관계는 비교적 뚜렷했으며, 이들을 연계한 통합시청률 산출을 위한 수식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다. 시청률이 높을수록, 그리고 비전통적인 방식의 프로그램 시청비율이 높을수록 최종적으로 산출되는 통합시청률이 비례적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다양한 매체 소비 행태의 비율을 기존의 시청률 자료와 연동하여 실무적인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합시청률 개념을 산출해내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영어초록

    Due to the wide spread of smart media, the consumption patterns of broadcast contents have become diversified. Viewers who watched the live broadcasting programs through TV sets are turning their eyes into new devices such as PCs and mobile phones. Attempts to supplement the existing TV rating system are also increasingly prevalent.
    In this study, the media consumption habits of 3,305 viewers are analyzed by gender and age groups according to program genre and broadcasting type. This study reveals more diverse viewing patterns in a genre of variety and in cable rather than drama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Although these differences did not seem to be noticeable between men and women, the difference in age groups ranged widely. Older people still prefer traditional TV viewing styles, while younger ones are accustomed to new forms of TV program consum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V rating and real-time TV watching ratio has been relatively high, and a model for integrating them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higher TV rating and the non-traditional TV watching ratio, the more likely the gross TV rating(GTR) would be proportionat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a new starting point in the concept of integrating various media consumption patt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