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볼류메트릭 기술의 모바일 최적화를 위한 UX관점의 우선순위 도출 - 화질과 반응속도를 중심으로- (Prioritization of a UX Perspective for Mobile Optimization of Volumetric Content - Focusing on visual quality and speed-)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2.11
10P 미리보기
볼류메트릭 기술의 모바일 최적화를 위한 UX관점의 우선순위 도출 - 화질과 반응속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7권 / 4호 / 107 ~ 116페이지
    · 저자명 : 이 민 화, 박 인 평, 윤 재 영

    초록

    연구배경 최근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다.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논의와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중 볼류메트릭 4D 기술은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는 의류, 광고, 게임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으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는 아직 볼류메트릭 4D영상을 내제하기 위한 준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모바일 최적화를 위해서, 사용자 경험(UX)관점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향후 볼류메트릭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의 모바일 서비스 압축률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볼류메트릭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로 실제 App을 제작하여, UX 만족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모바일 최적화 시,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화질과 속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측정하기 위함이었다. 때문에, 볼류메트릭 콘텐츠의 실험물을 ‘화질’,‘반응속도’에 차등을 주어 ‘압축 2회 화질-정상 가동 속도’, ‘압축 1회 화질 - 0.2sec 딜레이 속도’, ‘원본 화질 - 0.4sec 딜레이 속도’ 3가지 유형으로 볼류메트릭 모바일 콘텐츠 실험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용성’, ‘매력성’, ‘몰입’, ‘만족도’를 사용경험 평가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이를 20대, 30대, 40대 남성/여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각 세대 별 혹은 성별로 화질과 반응 속도 중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분석은 One-way ANOVA를 통해 집단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였다. 다각화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해, 연령과 성별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UX측면에서 볼류메트릭 콘텐츠를 모바일에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화질과 반응속도 중 ‘반응 속도’를 우선으로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 다수 언급되었다. (예외적으로 30대 남성의 경우, 모든 평가 항목에서 화질과 속도의 우선순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사용자들은 볼류메트릭 기술의 화질 보다는 정상 반응 속도를 통한 콘텐츠의 원활한 재생, 콘텐츠 확대 및 돌려보기와 같은 원활한 인터랙션에서 더 큰 편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볼류메트릭 기술을 모바일 최적화하기 위해서, 현재의 기술로는 화질과 반응속도를 모두 정상의 수준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때문에, 사용자 관점으로 화질과 반응속도 중 어떤 부분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고, 최적화를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질보다는 반응속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당 결과는 실험물이 ‘운동 학습 콘텐츠’였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운동 학습이라는 목적이 속도를 더 중요시하는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다른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더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Recently, because of COVID-19,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immersive content has increased. Accordingly, discussion and research to produce immersive content a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and among them, volumetric 4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Volumetric 4D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clothing, advertising, and games, and is gradually expanding its influence. However, in the current media service environment, the technical conditions for embedding volumetric 4D imag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priority of user experience (UX) point of view for mobile optimization of volumetric content is to be derived.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mobile service compression rate of content using volumetric technology.
    Methods We tried to measure UX satisfaction by making an app with contents using volumetric technology. This was to measure the priority of ‘viusal quality’ and ‘speed’, which are mentioned as problems in mobile optimization of volumetric content. For this reason, three types of volumetric content experiments were produced by giving differences in 'visual quality' and 'speed'(i.e.,'compressed twice visual quality - normal operation speed', 'compressed once visual quality - 0.2sec delay speed', 'original visual quality - 0.4sec delay speed’).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alysis, 'usefulness', 'attraction', 'immersion', and 'satisfaction' were extracted as factors for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en/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di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which factor of ‘visual quality’ and ‘speed’ had a greater effect on satisfaction by generation or by gender.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compared the mean differences of the groups through One-way ANOVA.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generation and gender.
    Result Many opinions were mentioned that ‘speed’ should be considered first among ‘visual quality’ and ‘speed’ in order to optimize volumetric content for mobile application in terms of UX. (Exceptionally, in the case of men in their 3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iority of ‘visual quality’ and ‘speed’ in all evaluation items). It was found that users felt greater benefit from smooth interaction such as smooth reproduction of content through normal ‘speed’, and content enlargement and rotation rather than the visual quality of volumetric technology.
    Conclusion In order to optimize the volumetric technology for mobile applica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both ‘visual quality’ and ‘speed’ to normal levels with the current technology. Therefor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we determine which part of ‘visual quality’ and ‘speed’ is more affected, and to derive priorities for optimization.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speed’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visual qualit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result was 'learning exercise content', it is possible that the purpose of learning exercise became a factor that gave more importance to ‘sp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hat can add validity to the results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various contents targeting different fie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5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