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양서류 서식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Creation and Management Pla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by Type in Each Small-Scale Biotope in Seoul† - Base on the Amphibian Habitats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4.04
17P 미리보기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양서류 서식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52권 / 2호 / 110 ~ 126페이지
    · 저자명 : 박하주, 한봉호, 김종엽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조성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대상으로 유형분류를 실시하여 대표 대상지의 입지특성, 서식처 구조 및 생물서식기능, 위협요인을 분석, 종합하고 유형별 생태적 특성에 따른 조성 및 관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과 관리항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9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자료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형화하였으며, 유형화를 위한 분류기준으로 입지, 수계, 규모로 구분하여 대표 대상지 8개소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입지는 배후산림 연결성이 낮거나, 단절되어 양서류 이동이 불리한 곳에 조성되었으며, 물 공급으로는 상시 유량 확보 및 일정한 수심 유지가 불안정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면적이 작으며, 양서류 서식에 불리한 인공형 서식구조, 토사 유입 가능성과 호안부의 훼손 등이 있었고 생물서식기능은 습지식물 부족과 귀화초본 분포, 위협요인으로는 주변으로 등산로 개설과 데크 등의 시설 인접으로 인위적인 교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유형별 특성에 따른 조성 시, 개선방안 제시 내용으로 양서류 이동을 위한 배후산림 연결과 물공급이 가능한 곳에 입지하는데 인위적인 물공급 가능성 검토와 지속적인 인입 유도를 위한 수체계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서식처 구조는 가능한 규모를 크게 하거나, 소규모는 여러 개를 연계하여 자연형 수변구조로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서류 은신처 제공을 위한 습지식물 추가 도입과 산책로 등의 시설은 이동루트 확보 이외의 지역에 설치하여 인위적인 교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조성 후, 관리방안은 양서류 서식을 위한 다양한 수심 유지와 토사 유입에 의한 사면 안정화, 호안부 훼손 보수, 귀화초본 및 개방수면 확보를 위한 고사 식물체, 퇴적물 제거 등의 관리로 인위적인 관리는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기 적용된 기법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생물서식기능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서울시를 비롯하여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려는 지방자치단체에 도시환경에 적합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lassification of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s created in Seoul to analyze and synthesize location characteristics, habitat structure, biological habitat functions, and threat factors of representative sites, as well as derive creation and management problem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aim wa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nd management items. Data collected through a field survey was used to categorize 39 locations, and 8 representative site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m into location, water system, and size as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ypifi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site was created in an area where amphibian movement was disadvantageous due to low or disconnected connectivity with the hinterland forest, and the water supply was unstable in securing a constant flow and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depth. The habitat structure has a small area, an artificial habitat structure that is unfavorable for amphibians, having the possibility of sediment inflow, and damage to the revetment area. The biological habitat function is a lack of wetland plants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grasses, and threa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hiking trails and decks in the surrounding area. Artificial disturbances occur adjacent to facilities. When creating habita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an artificial water supply and introduce a water system with a continuous flow in order to connect the hinterland forest for amphibian movement and locate it in a place where water supply is possible. The habitat structure should be as large as possible, or several small-scale habitats should be connected to create a natural waterfront structure. In addition, additional wetland plants should be introduced to provide shelter for amphibians, and facilities such as walking paths should be installed in areas other than migration routes to prevent artificial disturbances. After construction, the management plan is to maintain various water depths for amphibians to inhabit and spawn, stabilize slopes due to sediment inflow, repair damage to revetments, and remove organic matter deposits to secure natural grasses and open water. Artificial management should be minimized.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function of biological habitats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s with previously applied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n the future,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 spaces suitable for the urban environment can be created for local governments that want to create small-scale biological habitat spaces, including Seoul Cit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management pl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