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다빈도 해산물 외식식품류 17종의 지용성 영양성분 함량 분석: 토코페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콜레스테롤, 지방산 (Analysis of Fat-Soluble Nutrients (Tocopherol, Retinol, β-Carotene, Cholesterol, and Fatty Acids) in Seafood Restaurant Foods Commonly Consumed in Kore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02
16P 미리보기
국내 다빈도 해산물 외식식품류 17종의 지용성 영양성분 함량 분석: 토코페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콜레스테롤, 지방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52권 / 2호 / 162 ~ 177페이지
    · 저자명 : 안태용, 신정아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빈도 해산물 외식식품류 17종의 지용성 영양성분(토코페롤, 레티놀, 베타카로틴,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및 총 지방산)을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분석하였다. 각 지용성 영양성분은 Standard Reference Material(SRM 1869, NIST, Infant/Adult Nutritional Formula II)과 내부 분석 품질관리 시료(분유, 검은 콩가루)를 이용하여 분석법 검증 및 분석 QC chart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미역국 4종(북어, 굴, 바지락, 참치)에서는 주로 알파토코페롤과 감마토코페롤, 델타토코페롤이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E(mg α-TE/100 g) 함량은 성인 남녀의 비타민 E 충분섭취량(12 mg α-TE/d) 대비 RI가 0.33~0.67% 내외였고, 아귀매운탕과 홍합탕, 만두전골, 강된장찌개에서 충분섭취량 대비 RI는 1.75~9.75%의 수준을 보였다. 강된장찌개에서 총 토코페롤의 함량이 3.71 mg/ 100 g(1.17 mg α-TE/100 g)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해산물 외식식품 5종(명엽채, 북어강정, 새우전, 양념명란젓, 양념조개젓)에서 충분섭취량 대비 RI는 알파토코페롤의 함량이 높았던 양념명란젓에서 높은 비타민 E(37.08%) 함량을 보였고 그 외에 북어강정 30.08%, 양념조개젓 14.42 %, 새우전 9.50% 순으로 높았다. 4종의 기타 외식식품(치즈스틱, 치즈떡볶이, 야채달걀찜, 계란덮밥)에서는 3.00~10.72 % 내외의 RI를 보였다. 식품 중 함유된 비타민 A 함량은 분석된 레티놀과 베타카로틴 함량을 레티놀 활성당량으로 환산하여 권장섭취량(650 μg RAE/d) 대비 RI%로 나타내었다. 탕 및 국류 8종에서 비타민 A 함량은 0.55~31.01 μg RAE/100 g으로 권장섭취량 대비 RI는 0.08~4.77%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해산물 외식식품 5종에는 3.70~77.88 μg RAE/100 g의 비타민 A를 함유했으며, 권장섭취량 대비 RI는 0.57~11.98% 수준이었다. 이들 식품류 중에서 양념조개젓과 새우전의 권장섭취량 대비 RI 수치가 각각 11.98%와 7.94%로 비교적 높았다. 기타 외식식품류 4종에서는 권장섭취량 대비 비타민 A의 RI 범위가 3.44~8.74%였다. 치즈스틱과 치즈떡볶이의 비타민 A 함량이 56.83 μg RAE/ 100 g과 52.05 μg RAE/100 g으로 8.01~8.74% 내외의 RI 수준을 보였다. 탕 및 국류 8종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은 제한 섭취 권고량(300 mg/d 미만) 대비 RI가 0.84~14.21% 내외로 비교적 낮은 함량을 보였고, 해산물 외식식품 5종의 양념명란젓(제한 섭취 권고량 대비 RI 82.64%)과 새우전(RI 43.69%)을 제외한 식품류에서 제한 섭취 권고량 대비 RI는 0.76~17.94%였다. 양념명란젓과 새우전에는 각각 247.92 mg/100 g과 131.08 mg/100 g으로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보였다. 기타 외식식품류 4종에서 제한 섭취 권고량 대비 콜레스테롤 RI는 6.89~26.72% 수준이었다. 탕 및 국류 8종의 지방산 분석 결과, 총 지방산 함량은 0.21~4.16 g/100 g food로 낮은 경향을 보였고 지방함량을 기준으로 ∑SFA와 ∑USFA의 비율은 12.45~33.29 fat%와 66.20~ 87.27 fat% 내외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ω-6/ω-3 비율은 0.49~9.29로 다양하였다. EPA+DHA의 RI는 섭취권장량(500 mg/d) 대비 0~24.0%의 수준을 보였다. 탕 및 국류 8종 중에서 홍합탕의 섭취권장량 대비 RI(24.0 %)가 가장 높았다. 해산물 외식식품 5종의 총 지방산 함량은 0.65~19.66 g/100 g food로 북어강정(19.66 g/100 g food)과 새우전(10.11 g/100 g food)이 높은 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이들의 ∑SFA와 ∑USFA의 비율은 15.71~33.30 fat%와 66.43~83.46 fat% 내외로 탕 및 국류와 유사하게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명엽채, 양념명란젓, 양념조개젓의 ω-6/ω-3 비율은 0.82~2.05였고, 지방함량이 높은 북어강정과 새우전의 ω-6/ω-3 비율은 7.25와 8.72였다. 이것은 튀김유를 부원료로 조리한 식품류이기 때문에 높은 오메가-6 지방산 함량(45.55~51.64 fat%)을 나타내었다. EPA+ DHA 함량은 양념명란젓(934.7 mg/100 g food, RI 186.9 %), 북어강정(245.4 mg/100 g food, RI 49.1%), 양념조개젓(233.0 mg/100 g food, RI 46.6%)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기타 외식식품류 4종의 총 지방산 함량은 1.99~16.65 g/100 g food였고 ∑SFA와 ∑USFA의 비율은 29.88~49.07 fat%와 49.92~69.60 fat%를 보였으며, 치즈떡볶이의 경우 포화지방산 함량(49.07 fat%)이 비교적 높았다. ω-6/ω-3 비율은 8.89~12.78로 오메가-6 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의 EPA+DHA 섭취권장량 대비 RI는 0~5.0 내외로 아주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국내 다빈도 해산물 외식식품류 17종에 함유된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ND~0.16 g/100 g food (ND~0.85 fat%)로 검출되어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따른 트랜스지방산의 1일 영양성분 섭취기준(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1% 미만)에 충족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reliable data on fat-soluble nutrient (tocopherols, retinol, β-carotene, cholesterol, and fatty acids) contents in seventeen types of seafood-based restaurant foods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Food Nutrient Databas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applied methods were tested using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SRM 1869 Infant/Adult Nutritional Formula II and IHQC Infant formula). The analytical methods used, that is, HPLC for tocopherols, retinol and β-carotene, and GC for cholesterol and fatty acids, to quantify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showed good accuracy (88.9∼126.7%), recovery (z-score <|2|), and precision (<8%, RSD) as per official method validation guidelines. In 17 restaurant foods, the contents of α-tocopherol equivalents (TEs) ranged from 0.04 to 4.45 mg α-TE/100, and their relative percentages of recommended dietary intake (RIs), based on 12 mg α-TE/d, ranged from 0.33 to 37.08%. RI percentages of vitamin A (based on 650 μg RAE/d) were relatively low (0.08∼11.98%). High cholesterol levels were observed in myeongnan-jeot seasoning (247.92 mg/100 g, RI 82.64%) and saeu-jeon (131.08 mg/100 g, RI 43.69%) based on a restricted dietary cholesterol level of 300 mg/d. Total fatty acid contents ranged from 0.21 to 16.65 g/100 g food (∑SFA 12.45∼49.07% and ∑USFA 49.92∼82.27%), and their EPA+DHA contents were ND∼934.7 mg/100 g food. These results provide reliable analytical data on the contents of fat-soluble nutrients in seafood restaurant food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and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food nutrient datab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