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고와好古窩 류휘문柳徽文이 쓴 기행일기의 전존傳存 양상과 자료적 가치 (Form of passed-down travel journals written by Hogowa(好古窩) Ryu Huimun(柳徽文) and their data valu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2.07
42P 미리보기
호고와好古窩 류휘문柳徽文이 쓴 기행일기의 전존傳存 양상과 자료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48호 / 187 ~ 228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본고는 현전하는 일기 자료가 저자 친필본부터 문집 수록본까지 그 형태가 다양하다는 것과 때로는 같은 저자의 같은 기간 같은 경험의 일기가 서로 다른 형태로 함께 전해진다는 사실을 일차적으로 주목한 것이다. 더불어 일기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인 현장성과 즉시성을 감안할 때 일기자료의 전승과 보존 과정에서 그 특징이 어떻게 유지되고 또 어떻게 변형되는지를 살펴보려 한 것이다. 그 사례로서 호고와 류휘문이 직접 작성한 필사본 기행일기 5종과 류휘문 사후 문집에 수록된 기행일기 4종 그리고 문집에 수록된 관련 시 작품을 함께 검토 분석했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이점을 포착했다.
    필사본 기행일기 5종 가운데 1종은 현장성과 즉시성이 두드러지는 친필 초고본이었으므로, 류휘문의 기행일기는 동일 기간 동일 여행의 일기 4종이 현장에서 작성한 초고본과 여행 직후 손수 정리한 편집본 그리고 류휘문 사후 간행된 문집에 수록된 것까지 총 3개의 형태가 모두 남아있는 셈이었다.
    살펴본 결과 류휘문의 기행일기는 현장 초고본에서 문집에 실리는 과정까지 역동적인 전승 보존의 양상을 거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장 초고본은 여행 도중 작성한 것으로 그때그때의 주어진 상황 속에서 기본적인 체계 없이 날짜의 흐름대로 즉석에서 바로 기록한 것이었다. 그래서 그것은 생생한 현장감이 고스란히 배어 있었다. 류휘문이 여행을 마치고 손수 정리한 편집본의 일기는 현장 초고본보다 현장감은 다소 떨어졌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자료적 활용 가치가 극대화되었다. 일단 여행 지역에 대한 다방면의 지식 정보를 포함해 그 내용이 풍부했고, 다음으로 지인들과 여행 경험을 공유하기 위한 여행 지침서의 성격이 두드러졌으며, 마지막으로 여행을 매개로 또는 여행을 소재로 창작한 시문詩文들이 함께 수록되어 있어서 작문 동기와 배경을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크게 부여할 수 있었다.
    더불어 여행을 매개로 주고받은 지인들의 시문도 같이 실려 있어 그 연결 고리를 읽어내는 것도 용이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적 경향의 자료적 가치는 후손들의 노력으로 문집에 수록되면서 크게 약화되었다. 문집의 기본 체제에 맞추기 위해 하나의 저술을 해체해 문체에 따라 별도로 수록했고, 지면의 한계로 인해 내용을 대폭 산삭했으며, 여행을 매개로 주고받은 지인들의 시문이 모두 누락된 것이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 문집 수록 일기는 보이지 않는 그 이면의 기록 배경에 대한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rimarily designed to find out that an author’s passed-down journal data has diverse forms ranging from the author’s own manuscript to a part of literary collection and that the journals written by a same author on the same experience during the same period have various forms. It also tries to check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journal data can be kept and changed considering its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practicability and immediacy. As their examples, 5 kinds of travel journal manuscripts written by Hogowa Ryu Huimun and 5 travel journals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Ryu Huimun, which was posthumously published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captured the following differences.
    As one of 5 travel journal manuscripts was the first transcript journal of his own having the unique practicability and immediacy,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hree forms of Ryu Huimun’s journal data passed down up to now with a form of 4 travel journals written on the same period on the same travel, a form of his own collection version, and a form of posthumously published journals in the colle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yu Huimun’s travel journals had undergone the dynamic passing-down and preservation in the period ranging from field transcript to the collection. The field transcript was directly written in the field without any basic system under given situation following the flow of event in a day. Therefore, those contained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field. The edited version of journal which was written on his own after the travel also got the maximum values in the several points though it has somewhat low vividness than the field transcript version. First, it has a lot of contents including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many regions and then, has unique instructions as travel manual for sharing the travel experience with his acquaintances and also contained poems which were created with the travel considering as media or materials, thus helping people to fully understand the motivation and background of writing. On top of that, as they contained his acquaintances’ poems exchanged on the travels, they helped to find out the connecting ring between them.
    But, this kind of data value was greatly weakened due to the posterity’s effort of putting them on the collection. To adapt them to the basic system of collections, his writing had to be decomposed and separately put to different form of collection following the collection’s writing style.
    In addition, due to the limited space in the collection, his writing’s contents were greatly removed for editing with all of letters and poems exchanged with his acquaintances removed from the collection.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deeply check out the background of writing as it is hidden behind the journals in the coll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