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활권 분화에 따른 밀류(Milieus)의 공간적 불평등: 대전광역시 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Spatial Inequality of Milieus due to Living Space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Example of Daejeon Residen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5.04
27P 미리보기
생활권 분화에 따른 밀류(Milieus)의 공간적 불평등: 대전광역시 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6권 / 2호 / 315 ~ 341페이지
    · 저자명 : 정선기

    초록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생활권별로 주민들의 가치지향, 문화향유, 주관적 인식, 계층의식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최근 제기되고 있는 장소와 밀류의 분절(Entkoppelung) 테제를 검증해본다. 오늘날 도시생활에서 장소는 점점 더 밀류가 아닌 단지 왔다가는 무대로서의 의미만을 가진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공간의 이동성은 도시 공간의 사회적 규정력이 약화되어서라기보다 오히려 강화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도시의 생활권별 밀류의 차이는 확인되고 있으며, 도시의 생활권 분화와 더불어 나타나는 공간적 이동성은 경제적 이익과 상징적 가치를 추구하는 중산층 집단에 해당하는 밀류 특성이다. 주거의 선택에서 새롭게 개발되는 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공간의 점유를 통한 상징적 가치의 획득은 직장과 주거의 거리만큼이나 중요한 요소지만 언제나 그것을 실행할 수 있는 부유층과 선택의 여지가 없는 서민층의 차이를 더욱 확고하게 구별짓는다. 새롭게 개발되는 주거 장소의 경제적 가치와 상징적 의미가 상승하면 할수록 기존 주거공간과 차별은 강화되고, 도시 공간의 분화는 점점 더 계층적 밀류를 구분짓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만 ‘특정 도시 공간에서 확인 가능한 밀류가 얼마나 중첩적인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가’, 또는 ‘특정 공간에 하나 이상의 밀류가 공존하고 있는가’의 문제는 후속 연구를 통해서 좀 더 세밀하게 검증을 해보아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following research examines the thesis on the Entkoppelung of physical space and Milieus by taking a look at how the value orientation, cultural participation, subjective perception, stratification consciousness of citizens differ depending on their living space. It has been claimed that, in recent urban life, physical location is beginning to possess meaning as more of a stage to come and go rather than a milieus. However, the mobility of location is brought about due to the strengthening of social regulation rather than its weakening. The milieus difference between urban living spaces can be confirmed, and the mobility of location following the differentiation of urban living space is a characteristic of the upper class milieus. When it comes to the selection of residency, the acquisition of symbolic value through the occupation of economic value and physical space in newly developing areas is a factor that is just as important as the distance between house and work. However, it broadens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s the economic value and symbolic meaning of newly developing areas increases, the differentiation from preexisting dwellings strengthens and the distinction of city space develops in such a way that separates class milieus.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 of ‘how much overlapping properties do traceable milieus possess,’ or ‘are one or more milieus existing in a certain space’ is something that should be examined in more detail through subsequen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