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온경류 동래입춤의 작품분석과 실연자의 미적체험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s a Perform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김온경류 동래입춤의 작품분석과 실연자의 미적체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춤학회誌 / 12권 / 3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강주미

    초록

    이 연구는 동래권번 예능 사범 강태홍(1893-1957)의 춤 기본인 <김온경류 동래입춤>을 오랜 기간 수행해 온 연구자가 실연자로서 춤의 구조를 분석한 후 그 체험을 기술함으로써 그 미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형식구조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단은 ‘딱딱’ 채편으로 맺지 않고 ‘더러러러’와 같이 풀면서 연주해야 동래입춤의 춤 맛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무대 이동은 중앙 위에서 삼각형의 구도로 활용하다가 다시 중앙 위로 돌아오기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셋째, 춤사위는 나비사위, 겹머리사위, 실패감는 사위, 엇디딤사위 등의 특징적 동작이 있다.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은 흥을 다루고 있는데, 체험의 현상학적 기술을 통해 그 미적 감정으로서 네 가지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쾌, 긴장, 무아지경, 평정의 기술로부터 흥, 맺음, 신명, 평온 등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흥은 어둠을 눌러주며 양지로 풀어내는 감정으로서 내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쾌’이다. 맺음은 어둠과 밝음이 팽팽하거나 혹은 고요한 ‘긴장’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신명은 무아지경을 경험하는 상태로 춤의 기운과 초월적 세계의 만남만이 남고 나머지의 사태는 사라지는 상태다. 그리고 평온은 어둠과 밝음의 대비 요소를 경쟁 없이 두며 실연자가 춤으로 소화해 내는 단계다.
    이런 의미들은 춤추는 동안 반복 작용을 통해 점층적으로 흥을 쌓게 한다. 춤의 마무리에서 실연자에게 다시 도래하는 평온감은 춤의 시작과 달리 환기된 밝음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 of dancing and analyzes its meaning as a performer who has practiced the work of <Dongnae Ipchum(Kim On-gyeong Style)>, the basic dance of Kang Tae-hong (1893-1957). In addition,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along wit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formal structural analysis. First, the rhythm is played in a loose and rolling manner. Second, the stage movement follows a triangular structure and then returns to the center again. Third, the dance has distinctive movements such as butterfly steps, double steps, looping steps, and misaligned steps.
    From the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f the experience, the following semantic units of aesthetic emotion were derived. It contains excitement, fulfillment, vitality, and calm, which come from pleasure, tension, egolessness, and equanimity respectively. These meanings build excitement gradually through repetition while dancing. Unlike the beginning of the dance, the sense of peace that comes back to the performer at the end of the dance is a brightening sens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춤학회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