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해도 <배뱅이굿>의 제의성과 예술성 - 양소운류 연행을 중심으로 - (he Ritual Features and Artistry of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 Focused on the Yang So-un Style of Performance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황해도 &lt;배뱅이굿&gt;의 제의성과 예술성 - 양소운류 연행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47호 / 213 ~ 241페이지
    · 저자명 : 이원영

    초록

    황해도 <배뱅이굿>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북한에서 월남한 고(故) 양소운에 의해 전승되었다. 양소운류 <배뱅이굿>의 연행적 특징은 황해도 무속 진오귀굿의 베가르기에 해당하는 의례적 연기가 수반된다는 것이다. 공연에서 배뱅이 진오귀굿의 베가르기 연행을 할 때 이미 청관중은 이것이 박수무당의 사기 행각의 일부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배뱅이의 해원(解冤)을 도와 극락으로의 천도를 기원하는 의례가 형식적으로나마 이루어지면서 사기극을 통한 긴장감과 유희성이 굿을 통해 억울하고 슬픈 감정을 풀고 두루 복을 기원하는 한국 민간신앙의 정서로 이행되게 된다. 이에 황해도 <배뱅이굿>은 다른 배뱅이굿처럼 재밌고 슬프기도 하지만, 한편 세속적이지만은 않으며 성스러움에까지 나아간다는 점에서 변별적인 지점을 가진다.
    <배뱅이굿> 서사에 참여한 청관중들은 삶과 죽음, 참과 거짓, 사랑과 미움, 연민과 혐오, 원한과 해원(解寃) 등 인간사의 다양한 대립적 면모를 유희성, 예술성, 종교성의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박수무당의 사기행각인 가짜 굿이 가족과 마을 사람들 모두가 완전히 믿게 되는 배뱅이의 진짜 진오귀굿이 되는 것처럼, 실제의 공연도 허구적 서사를 바탕으로 하지만 무속신앙의 의례적 연행을 통해 제의적 성격을 가지게 된다. 청관중들이 경험하는 ‘속임’과 ‘속음’의 연행은 진짜와 가짜, 표면과 이면, 허구와 진실이라는 대립적 간극의 경계를 넘나든다. 이와 같이 이야기상의 가상의 굿을 텍스트와 컨텍스트 맥락의 다차원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소운류 황해도 <배뱅이굿>만의 특별한 예술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Baebaeng-i-gut, a traditional performance in the Hwanghae Province, as performed by the late Yang So-u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ue to the Korean War.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Yang So-un’s style of performance is that it is accompanied by a ceremonial performance of a shaman ritual (gut) involving the cutting and tearing of white hemp cloth (Baengmokcheon), which symbolizes the road to the afterlife according to the customs of Jinogui-gut, the shaman faith of the Hwanghae Province. During the performance of cutting the hemp cloth in the gut to soothe Baebaeng-i’s soul and send it to heaven, the audience is already aware that it is part of the fraudulent practices of the male shaman (Baksu Mudang). Yet, as a ritual it is held formally, wishing for Baebaeng-i’s dead soul to be guided to heaven with help satisfying the grudge (Haewon), tension and enjoyment through fraud are fulfilled as the sentiment of Korean folk beliefs is that they relieve their resentful and sad feelings through gut and wish everyone good luck. Thus,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is both funny and sad like other Baebaeng-i-gut, However, it is not just secular, but also sacred, which is its distinctive feature.
    Through this ritual performance,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narrative of Baebaeng-i-gut experiences various conflicting aspects of human nature–life and death, true and false, love and hate, compassion and hatred, grudge and Haewon, etc.–in terms of enjoyment, artistry and religiousness in various ways. As-Baksu Mudang’s fraudulent gut becomes the true Jinogui-gut of Baebaeng-i, which all family members and villagers wholly believe, the actual performance, too, comes to have a ritual character through the ceremonial performance of the shaman faith, though it is based on a fictitious epic. In this way, the performance of ‘deceiving’ and ‘being deceived,’ which the audience experiences, crosses the boundaries of the conflicting gap between the real and the fals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inside, and between fiction and truth. This enables the audience to be able to appreciate the virtual gut in the narrative in multidimensional aspects of both text and context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d the artistic value of Yang So-un’s style of the Hwanghae Province Baebaeng-i-g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