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The Documenting System of Royal Family Genealogies and its Characteristics in Late Joseo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7.06
34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17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원창애

    초록

    조선시대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매우 다양하다. 조선 전기에 작성된 왕실보첩류는 『선원록』ㆍ『돈녕보첩』ㆍ『어첩』ㆍ『팔고조도』 등이다. 특히 『선원록』ㆍ『돈녕보첩』 등은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이들에게 합당한 예후를 하기 위해서 매 식년마다 종부시와 돈녕부에서 단자를 받아 수정하였다.
    조선 초기 왕실보첩류는 후기에 들어서면서 편찬체제가 달라지고, 기존의 보첩류와는 성격을 달리한 보첩류들이 간행되었다. 조선 후기에 새로 간행된 왕실보첩류는 『선원계보기략』ㆍ『왕비세보』ㆍ『선원속보』 등이다. 조선 후기 왕실보첩류의 편찬체제 변화나 새로운 보첩류가 등장하는 것은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이다. 16세기 말 이후 예학의 심화와 종법적인 가족제도의 정착으로 양반가의 족보 간행이 활발해지고, 보학자들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가 왕실보첩류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조선 전기 이래 계속 수정 간행된 『선원록』은 1681년(숙종 7)에 와서는 외형적인 편찬체제와 수록 대상 범위가 변화되었다. 즉 從으로 기재되던 『선원록』은 양반가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橫으로 선을 그어 횡간에 기재되게 되었다. 『선원록』의 수록 대상이 本孫ㆍ外孫 모두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던 것이 본손은 왕의 9대손, 외손은 왕의 6대손까지 기재되었다. 이와 같은 본손ㆍ외손의 차별을 두게 된 것은 ‘詳內略外’라는 조선 후기 성리학적 유교 윤리가 심화되면서 변화된 가족 의식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왕실보첩류는 기본적으로 왕실의 친족을 파악하여 예후하기 위한 공문서로서의 성격을 띠므로 조선 왕실을 구성하는 핵심 지배층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왕실보첩류가 기본적으로 어떠한 편찬체제를 가졌는지, 편찬체제가 왜 변화하는지, 새로운 왕실 보첩류들이 왜 등장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또한 여러 명칭의 왕실보첩류가 그 보첩만이 가지는 성격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없었다. 본고는 왕실보첩류에 대한 기초연구로, 왕실보첩류 가운데 왕의 친족을 수록한 선원보첩류(『선원록』ㆍ『어첩』ㆍ『팔고조도』ㆍ『선원계보기략』ㆍ『선원속보』)의 편찬 체제와 편찬 과정을 통해서 각 선원보첩의 성격과 선원보첩류에 반영된 조선후기 사회상을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There were various types of royal genealogical records documented in the whole period of Joseon dynasty. Early in the dynasty, such royal family records were found as 'Description for Royal Origins'(Sunwon-rok), 'Genealogy Tables of Royal Relatives'(Donnyung-pochup), 'Records for Royal Trees'(Eochup), 'Eight Nodes of Royal Ascendants'(Pal-kojo-do) and others. Every three years, 'Royal Clan Office'(Jongpu-si) and 'Office for Royal Relatives'(Donnyung-pu) gathered a candidate list from alleged royal family relatives in order to delineate the scope of royal families and treat them with privileges.
    In late time of the dynasty, there appeared a different style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They were 'Representative Genealogy Document of Royal Families'(Sunwon-kyepo-kiryak), 'Genealogical Records of Queens' (Wangbi-sepo), 'Continued Records of Royal Families'(Sunwon-sokpo) and others. It seemed to reflect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that there appeared some changes in editing system of the royal genealogy and there occurred a new type of family documents. After 16th century in Joseon, especial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ite Studies(Ye-hak) and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ystem through the first son's lineage, documentation of family genealogies had been prevailed among noble class of people(Yangban) with assistance from many experts on genealogy. This trend had an impact on the royal family. We can observe some changes both in the stylistic layouts and in the scope of inclusion for relatives, for instance, in 'Description of Royal Origins'(Sunwon-rok) which was done in 1681 or in the 7th year of King Sukjong reign; following the normal style of noble class records, the original vertical tables in column shifted into row tables with horizontal lines: the original scope to include 6th node offsprings equally in the paternal and maternal lines, on one hand, had been expanded up to 9th node offsprings in the patrilineage, while the matrilineage, on the other, had been preserved the same original 6th node with no change. This phenomenon was explained by the late neo-confucian ideology(Sungri-hak) represented as 'Expansion of Inside Nodes but Reduction of Outside Nodes'(Sangnay-Ryakoy) in which they began to sharply discriminate mother nodes in favor of father nodes.
    Royal family records are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re dominating class constituting the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because the records were regarded a public document officially approved for honorable treatment. We do not have any kind of rudimentary understanding yet on which system various kinds of royal genealogies were adopted in documenting relatives, why the system changed, and why a new style of records came to be prevailed. In addition, among various names of royal family documents, wha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 records had is not known. This paper has revealed what characteristics each royal family record had, especially focusing on the systems and process how it was documented, with reference to the social realitie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