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자인류학과 아르만도 페트루치의 문자연구 (Anthropology of Writing and Armando Petrucci’s Studies on Lettering)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12
44P 미리보기
문자인류학과 아르만도 페트루치의 문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8호 / 233 ~ 276페이지
    · 저자명 : 이혜민

    초록

    이 논문은 역사학과 문자연구의 관계를 검토하는 동시에 사회문화사적인 문자연구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서 특히 문자인류학에 주목하고, 그 선구적인 연구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중세학자 아르만트루치의 연구가 새로운 문자연구에 제시하는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문자인류학이라는 용어 자체는 1980년대에 일부 언어학자들에 의해서 이미 사용되기는 했었지만, 최근 프랑스의 역사학자들과 영어권의 인류학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학문 분야로서 부상하고 있다. 오늘날의 문자인류학은 “문자” 자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문자의 그래픽적인 차원을 비롯하여 여러 매체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다양한 표현 양태를 연구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인간의 읽기 능력과 쓰기 활동 등을 포함한 문자사용의 관행들과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학문이다.
    아르만도 페트루치가 제시한 ‘공시 문자’ 혹은 ‘게시 문자’의 개념은 오늘날에도 문자인류학을 연구하고자 하는 역사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페트루치의 연구는 문자의 물질적, 외형적 측면 및 그래픽의 유형을 살펴보는 동시에, 이와 관련된 역사적,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중시하였다. 그는 특히 문자의 사회적 기능과 문자를 둘러싼 사회적인 권력관계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문자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할 때 페트루치의 연구는 많은 영감을 제공해준다. 그의 연구는 다양한 기록매체들에서 나타나는 문자의 규범과 일탈현상에 대해서 폭넓은 시야를 갖고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일깨워준다. 그리고 문자의 외형적, 물질적 형태와 문자사용의 사회문화적 관행에서 발현되는 개인적, 집단적, 지역적, 시대적 정체성 등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요컨대, 문자인류학은 문자의 사회문화사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로서, 페트루치의 연구가 제안하는 것처럼, 문자사용을 둘러싼 사회적인 권력관계 연구 및 문자사용 계층의 정체성 연구 등을 비롯해서 도시사나 책의 역사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research methodology on socio-cultural history on writing,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studies on writing. For this objective, this papers pays particular attentions to the anthropology of writing and, as one of its pioneering researches, to the epigraphic studies of the Italian mediaeval historian and paleographer Armando Petrucci. His researches on lettering can become illustrative of new studies of writing nowadays. Even though the term “anthropology of writing” was already used by some linguists back in the 1980s, it has been recently redefined as a new academic discipline by French historians and British anthropologists. Today the anthropology of writing is regarded a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deals with graphic and material forms of writing at the same time with its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including literacy issues and human activities pertinent to writing,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tions.
    The notions such as the “monumental writing” or the “display writing,” which Armando Petrucci elaborated on, still exert influences upon historians who work on the anthropology of writing. Petrucci not only, studied the graphic typology of epigraph, letter forms and layouts, but also laid special stresses on the social functions and uses of display writings and on the power relationships that the display writings characterize. Petrucci’s studies on lettering greatly inspir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and society. His epigraphic explorations validate the necessity for research on graphic norms and on deviant examples which various writing media bring about. His studies also propose that we can study on individual, collective, regional identiti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an age in light of material forms of letters and in light of socio-cultural practices of writing as well. Finally, Petrucci’s researches encourage the idea that the anthropology of writing can be extended to the studies of power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es, to the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writing and identity. It could also shed light even on the studies on the urban history or on the history of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