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토 창의류의 형태적 특징과 구성에 관한 연구-전남지역 출토 창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 and Composition of Changui excavated from Jeonnam a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출토 창의류의 형태적 특징과 구성에 관한 연구-전남지역 출토 창의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5호 / 79 ~ 98페이지
    · 저자명 : 안명숙

    초록

    전남지역에서 출토된 창의류는 대부분 16세기에서 17세기 중기 및 후기에 걸친 분묘들로, 소창의, 중치막, 대창의가 다량 출토되었다. 그 양식을 살펴본 결과 16~17세기에 해당되는 분묘들의 특징인 깃 모양, 섶구조, 옷길이와 트임비율, 소매모양 등의 잘 나타나 있었다.
    구성은 소창의와 대창의는 솜을 두고 누빈 옷이 많았으며, 대창의는 겹으로 된 옷으로 만들었다. 소재는 명주가 대부분이었고 문능과 문주 및 무명이 각 한 점씩 있었다. 색상은 소색과 갈색으로 구성되었다. 다른 지역의 창의류 소재와 비슷하다.
    유물의 형태적 특징은 깃은 대부분 칼깃이고, 당코깃이 두 점 있었다. 안깃은 거의 내어달린 목판깃 형태였다. 소매의 모양은 소창의는 직선형 착수소매이고, 중치막은 소매 중심 너비가 넓고 진동과 수구의 차이가 적은 콩깍지형 광수형태의 소매이다. 소매가 분리되는 중치막과 대창의도 있었다. 섶은 겉섶은 대부분이 칼깃이고 안깃은 내어달린 목판깃이며, 섶구조는 작은 섶이 하나 더 달린 형태의 모양이다. 묘주들이 대부분 조선중기에 해당되므로 이중섶은 없었고 단일섶과 섶끝부분에 작은 조각이 붙는 형태의 이중섶이 대부분이었다. 당은 무와 연결되므로 당이 있는 경우는 사다리꼴무이며 당이 없는 경우는 삼각무이다. 출토 분묘 중 가장 늦은 시기에 해당되는 17세기 말의 최원립장군 중치막 3점과 대창의 2점은 모두 당이 없으며 삼각무를 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삼각무가 사용되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Most of the Changui excavated from Jonnam area was excavated from the 16th to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17th centuries tombs. Sochangui, Jungchimak, Deachangui were largely excavated. Sub structure, length of the clothes, slit ratio, and shape of the sleeve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clothes from 16th to 17th centuries, were well shown.
    Sochangui and Deachangui were quilted with cotton and Deachangui were double layered. The material was mostly silk and there were clothes made of patterned silk[문능&문주], and, cotton cloth[무명]. It was similar to other regions’ material.
    The clothing features characteristic of relics were that collars were mostly Kal-git(칼깃). There were only two Dangko-git(당코깃). Protruding Mokpan- git(목판깃) were used for inner collars. Sochangui had staight sleeve while Jungchimak had beanpod-shaped sleeve[콩깍지형 광수] which have a small difference of armhole and cuff and sleeve width was wide. There were Jungchimak and Deachangui which had separated sleeves. Most of outer collar was Kal-git(칼깃) and inner collar was protruding Mokpan-git(목판깃). Structure of Sub(섶) was a shape with additional small Sub. Most of them were double Sub with a small piece attached to the end of the Sub and is different from the form of double Sub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e excavated clothes of the late 17th century, the latest period of the excavation, had triangle gusset[삼각무] and no Dang(당).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riangle gusset was us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