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애슬레저 룩 광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n Female Image in Advertisements of Athleisure Look)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2
16P 미리보기
애슬레저 룩 광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4호 / 97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이미숙

    초록

    본 연구는 애슬레저 룩이 여성 이미지를 어떻게 기호화하여 소비자에게 소구하는지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여성 소비자의 트렌드 및 사회적 의미변화에 대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국내 브랜드 젝시믹스, 안다르, 뮬라웨어세 브랜드의 광고를 선정하여 크레스와 리우웬(Kress & Leeuwen)의 시각 디자인 문법에 따른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슬레저 브랜드의 정체성에따라 전략적으로 여성 이미지를 소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여성 이미지의 기호학적특성은 여성의 신체부위가 강조되는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상호작용적 메타 기능의 특성으로 가까운 거리와 역동적 카메라 워크를 통해 시청자의 몰입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적 메타기능의 특성으로 명암과 빛 그리고 색상 등을 화면 중앙에 배치하여 현저하게 돌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사회기호학적 분석 결과, 애슬레저 룩에서 소구되는여성 이미지는 아름다운 얼굴을 가진 여성보다 강한신체 또는 볼륨감 있는 신체의 여성을 가감 없이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미가 얼굴에서 신체로 이동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여성 이미지의 연출은 그 신체가 성적으로 이용되기보다 생활에서 일상화된 운동을 통해 자연스럽고 당당하게 노출시킴으로써 신체의 노출이 부끄러운 것이 아닌 주체적이며당당한 방식으로 그 모습이 재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패션시장에서 고려해야할 현대 여성 이미지의 소구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how athleisure look appeals to consumers by symbolizing female image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esent marketing implications for changes in trends and social meaning of female consumers. For the analysis, three domestic brands XEXYMIX, Andar, and Mulaware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visual design grammar of Kress & Leeuwen. A summary of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hleisure brands were strategically delivering female images to consumers that matched their brand identity. In common, however, the semiotic characteristic of female image is that female body parts are emphasized.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ractive meta-function is that it enhances viewer immersion through close distance and dynamic camera work. Third, the characteristic of the compositional meta-function is that it significantly protrudes body parts through techniques such as light, color, and placement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 above-mentioned Semiotic analysis showed that the focus on women’s beauty was moving from face to body. The female image pursued in the athleisure look was a woman with a stronger body or volume than a beautiful face. In addition, the image of these women also emphasized a natural and imposing body through everyday exercise rather than sexy bodies. In other words, the body’s exposure has been shown to be reproduced in a subjective and imposing way, not ashamed. This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odern women’s image appeal strategies that fashion market should consi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