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공영화의 표상전략과 기억의 정치학 - 『월광의 여름(月光の夏)』과 『호타루(ホタル)』를 중심으로- (Strategy of representation in Tokkō Films and politics of memory - With focus on Gekkō no Natsu(Summer of the Moonlight Sonata) and Hotaru(a firefly)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9
29P 미리보기
특공영화의 표상전략과 기억의 정치학 - 『월광의 여름(月光の夏)』과 『호타루(ホタル)』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79호 / 231 ~ 259페이지
    · 저자명 : 박진한

    초록

    본고의 목적은 전쟁영화와 전쟁기억 사이의 관계, 다시 말해 전쟁영화가 일본인의 전쟁체험을 어떻게 상기시켜 재구성하고 재기억시키는지(Re-Memory)의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시아-태평양전쟁이후 일본에서 제작된 전쟁영화 중에서 이른바 ‘가미가제(神風, Kamikaze)’로 불린 ‘특공대’ 관련 영화를 소재로 삼고자 한다. 특히나 1993년에 제작된 영화 『월광의 여름』은 ‘죽음이 겁나 돌아온 비겁자’로 비난받은 생존 특공대원의 숨겨진 일화를 끄집어내어, ‘특공=죽음’이라는 전후 일본사회의 특공신화를 비판하여 많은 일본인들로부터 주목을 받은 작품이다. 지금까지의 특공영화가 전몰병사의 수기나 유언 등을 토대로 삼아 그들의 전쟁체험을 어떻게 증언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춘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특공에서 살아 돌아온 자에 대한 전후 일본사회의 억압구조를 문제 삼고 있다.
    90년대 이후 특공에서 살아남은 자들을 주인공으로 삼은 일련의 특공영화는 전의를 고취시키기 위해 전시 중의 일본영화가 주로 사용했던 수사법, 즉 가족과 연인을 위해 죽으러간다는 내용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결국 천황과 국가의 전쟁책임은 물론이고 전쟁 그 자체에 대한 비판의식을 갖지 못하는 이상, 이들 특공영화는 그들의 죽음이야말로 오늘날 일본이라는 국민국가의 보전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장엄한 희생이었다는 특공 기억과 사상의 풍화를 막기 위한 의도적인 연출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war films and war memories, that is, how war films let Japanese people call back and reconstruct the war experience of themselves. For that purpose, what is focused here on is films dealing with ‘tokkō-tai’, which is called also ‘tokkō’(literally meaning ‘special forces’, referring to Kamikaze) among war films produced in Japan since Asia-Pacific War. Especially, the 1993 film Gekkō no Natsu(Summer of the Moonlight Sonata) is remarkable and has drawn attention of many people in that it brought up the untold stories of ex-Kamikaze survivors who have been treated as ‘cowards’, criticizing a myth of ‘tokkō=death’ permeating post-war Japanese society. While other ‘tokkō films’ focused up to now how to testify war experience of Kamikaze based on their last words or notes posthumously found, the main theme of this film is a gaze upon survivors of kamikaze operations.
    Since 1990s, a series of ‘tokkō films’ whose hero is ex-Kamikaze survivor have been produced. These ‘tokkō films’, however, are commonly putting forward an opinion that “It is indebted to their sacrifice that now we can defend our nation-state of Japan.” As a result, let alone the Tennō System or a responsibility for war, but for a critical view to war itself, it can be said that these films may be intentionally presenting and reproducing the myth of “tokkō=magnificent sacrifice”, in order to let it not erode a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