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박과 히스테리 사이, 메이지 유신과 동아시아의 근대성: 시마자키 도손, 루쉰, 염상섭 (Between Obsession and Hysteria: Meiji Restoration and the Modernity in East Asi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강박과 히스테리 사이, 메이지 유신과 동아시아의 근대성: 시마자키 도손, 루쉰, 염상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비평 / 19호 / 162 ~ 193페이지
    · 저자명 : 서영채

    초록

    이 논문은 메이지 유신 150주년을 화두로 하여, 근대성이라는 타자에 맞닥뜨렸던 동아시아의 마음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쓰인다. 이를 위해 나는 백여 년 전 동아시아 삼국의 문학작품, 시마자키 도손과 루쉰, 염상섭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정신 질환을 대조하고 기술한다. 나는 두 개의 피해망상과 한 개의 과대망상이 어떤 식으로 차이가 나며 그것이 세 나라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쓴다. 메이지 유신 150주년이라는 말은 동아시아 근대성 150주년이라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 외래적인 것으로서의 근대성은 그것과 조우하는 사람들에게는 타자가 지니는 두려움과 함께 다가온다. 근대가 환기하는 내면성의 순수한 가치와 그것을 만들어내는 거칠고 추악하기까지 한 현실 사이의 알력이 한 시대 사람들의 마음을 이상 심리의 공간으로 몰아간다. 게다가 그 바탕에는 근대성 자체가 지니고 있는 윤리적 뒤틀림, 곧 공리주의라는 기묘한 현실 원리가 비윤리적 윤리의 형태로 기층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요소들이 층을 이룬 위에서, 근대로의 전환기 동아시아라는 공간 전체를 놓고 보자면, 거대한 역사적 타자와 맞닥뜨린 사람들의 마음은 강박과 히스테리 사이에서 찢어져 있다. ‘대학담론’의 형태를 지니고 있는 메이지의 근대화 과정과 또한 그 귀결로서의 태평양 전쟁이 그것의 가장 뚜렷한 표현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on the theme of the 150th anniversary of the Meiji Resto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indscapes of East Asia that faced modernity as ‘the Other’. To this end, I compare and describe the mental disorders that appear in the works of Shimazaki Tōson, Lu Xun, and Yum Sang Sup, East Asian literary works from about a hundred years ago. I write about how the two persecution-paranoias and a megalomani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ow they reflect the hearts of the three nations. The term ‘150th anniversary of the Meiji Restorat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150th anniversary of modernity in East Asia.’ Modernity as a foreigner comes with fear of ‘the Other’ to those who encounter it. The ambivalence between the pure value of the internality summoned by the modernity in ideal and the rough, even ugly reality that is created from the ideal pushes the hearts of the people of that era into a space of abnormal psychology. Moreover, on the basis of this, the ethical distortion of modernity itself, that is, the strange reality principle of utilitarianism, forms the basis in the form of unethical ethics. On top of these layers, when looking into the entire East Asian transition period, the minds of those who encountered a huge historical Other are torn between obsession and hysteria.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Meiji, which has the form of ‘university discourse’, and the Pacific War as its result are the most obvious expression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