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越樓 吟詠詩에 나타난 자아와 세계의 만남 (A Study on the assignation of persona and the world reflected in poems about Cheongwolru)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9
35P 미리보기
淸越樓 吟詠詩에 나타난 자아와 세계의 만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52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이구의

    초록

    본고는 상주시(尙州市) 모동면(牟東面) 옥동서원(玉洞書院) 안에 있는 청월루 음영시에 대하여 고찰한 논문이다. 옥동서원이라는 이름이있기 전 백화서원을 제재로 하여 시를 지은 분은 유촌(柳村) 황여헌(黃汝獻)과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이다. 유촌의 <백화서원(白華書 院)>시는 백화서원과 서원 유생들에게 바라는 큰 기대감을 이 시 안에 함축하고 있다. 대산(大山)은 두 수의 시에서 그 자신의 정감(情感) 을 묘사하고 있다. 그가 자신의 시에서 학문에 관한 자신의 견해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그 자신이 한결 같은 마음을 가진 선비라는 것을은근히 드러내고 있다.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는 <청월루(淸越樓)> 시를 통하여 청월루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인격과 학문이 완성되기를 바라고 있다. 청월(淸越)을 금성옥진(金聲玉振)에 비유하여 청월루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가 이<청월루>시를 통하여 청월루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은 인격과 학문이 완성되기를 바라고 있다.
    백하(白下) 황반로(黃磻老) 역시 청월루에서 그냥 시를 읊은 것이아니라 청월루에 의미를 부여하였고, 또 그 의미에 맞는 인재가 배출되기를 바라고 있다. 장원(藏園) 황원선(黃源善)도 입재나 백하와 같이단순히 그의 눈에 보이는 경물(景物)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경물을 통하여 자아의 희망을 읊고 있다. 녹차(綠此) 황오(黃五)의 <청월루>시는 시려(是廬) 황난선(黃蘭善)과 수창한 작품이다. 이 두 사람 사이에는 시가 곧 대화였다. 시려와 녹차가 묘사한 청월루는 창작의 공간이면서 접빈(接賓)의 공간이었다. 시려 황난선은 녹차 황오와 수창한 시를 비롯하여 청월루를 제재로 하여 17제 25수의 시를 지었다. 그가청월루를 제재로 하여 지은 시는 청월루가 창작의 공간, 접빈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는 강학(講學)할 때는 시를 짓지 않은 탓이다. 그에게 청월루는 충전의 공간이 되었다.
    청월루 시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월루 뿐만 아니라 옥동서원의 여러 건축물을 제재로 하여 창작을 했던 시인들은 당대에 학문과 덕행으로 유명한 선비였다. 둘째 이 시인들을 통하여 당시 학맥과혼인 관계를 알 수 있다. 셋째 이 청월루 시를 통하여 장수황씨 후손들의 선조에 대한 추앙(推仰)과 일가에 대한 애정을 알 수 있다. 넷째이 청월루 시를 통하여 당대의 시풍(詩風)의 단면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이 청월루 시를 통하여 그들의 현실인식과 시인들의 지향의식을알 수 있다. 여섯째 청월루 음영 시를 통하여 이를 제재로 하여 창작을 했던 시인들의 학문 경향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analyse poems about, which is located inside of Okdong School, Sangju city.
    Before dive into interpreting poems, the place which will be mentioned in this whole paper was called as BaekHwa School before its name changed to Okdong school. Several poets such as Yuchon YeoHeon Hwang, Daesan SangJung Lee were inspired to write poems about Baek Hwa school. Even if all those authors wrote poems about it, all of them have different writing styles as well as convey different messages in their poems. In this article, several authors who wrote poems about Baek Hwa school will be discussed below.
    To begin with, Yuchon’s poem implies that he was anticipating all pupils in the school to do well and the place to be propereous. Second, Daesan’s poem depicts affection towards the school. He did not necessarily provide his opinion on literature. However, his poem subtly shows that he was a steady scholar. Third, JeongJongro’s poem conveys the message that he wished for pupils who studied at Cheongwolru to improve both personally and academically. He gave considerable meaning to Cheongwolru by metaphorically calling it as the sound of the metal and jade.
    Also, BanRo Hwang was not just chanting a poem in Cheongwolru, but he had put the meaning in the place. Furthermore, he hoped for new elites to appear in there. Alike all the poems cited above, WonSeon Hwang sought to put considerable meanings in the place in his poems.
    He did not stop reflecting his consciousness by only chanting the poem in Chengwolru, but he showed his consciousness by chanting a poem. On the other hand, Oh Hwang and Nansun Hwang exchanged poems. For them, the poem was used as a conversational method.
    Throughout an analysis of inherent meanings in poems about Cheongwolru, literature trend in that period can be identified as following: First, all the authors who wrote the poems about Cheongwolru and other architectures inside of Okdong School were infamous scholars for their literature and moral behaviors. Second, it is possible to notice the literal style and marital status at that time throughout the authors analysed above. Third, poems about Cheongwolru portray that not only descendants of the family of Jangsu Hwang worshipped their ancestors, but also showed their affection towards them. Fourth, the literature style of that time can be easily identifiable. Fifth, poets’ sense of reality and their world view are identifiable. Sixth, literature trend of poets who wrote poems after getting inspiration from Cheongwolru can be f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