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주 공산성 拱北樓 題詠詩一考 (A Study on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Gongju)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6
39P 미리보기
공주 공산성 拱北樓 題詠詩一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0권 / 1호 / 1 ~ 39페이지
    · 저자명 : 이동재

    초록

    본고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인 공산성의 문화적 위상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공산성에 있는 공북루 제영시의 현황과 작품세계를 살펴보아서, 공북루의 문화사적 가치를 찾고 문화관광에 활용하는데 기여하였다.
    공주 공산성은 금강을 끼고 있는 승경의 공간으로 백제시대에는 왕궁이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관찰사의 감무가 있었던 곳으로 공북루 외에도 여러 누정이 있다. 공북루는 1603년 충청도 관찰사 柳根이 공산성 안에 충청도의 감무를 조성하면서 북쪽 금강 변에 세운 누각으로 關防의 기능 이외에 遊息과 餞別의 공간이었다.
    공산성 공북루 제영시는 1603년 柳根이 공북루를 낙성하고 지은 이후 20세기 초까지 꾸준히 지어졌으며,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제공하는 원문정보서비스에 탑재된 DB에 88題 94수가 색인된다. 공북루 제영시의 형식은 5언절구 2제 2수, 5언율시 12제 13수, 7언절구 20제 23수, 7언율시 54제 56수 등으로, 7언율시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최초의 공북루 제영시인 유근의 시가 7언율시였고, 이 시를 후대의 문인들이 많이 次韻하여 지었기 때문이다.
    공산성 공북루 제영시의 내용은 공북루의 승경을 읊은 시가 24수이고, 여로의 회포를 드러낸 시가 36수이며, 遊息의 정서가 드러난 시가 26수, 회고의 정서를 드러낸 시는 남인계열의 문인들에 의해 이괄의 난을 소재로 한 시로 8수가 있다. 이는 공북루가 백제의 궁성이자, 고려와 조선시대 행궁인 공산성의 城樓로서 금강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승경의 공간이고, 공무를 수행하는 관리나 사절들의 휴식 및 접대 장소였으며, 시인묵객들이 머물며 여로의 고단함을 토로할 수 있는 津樓의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s part of a basic study to examine the cultural status of Gongsanseong Fortres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and the world of the works, contributing to finding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 of Gongbukru pavilion and utilizing it for cultural tourism.
    Gongsanseong Fortress in Gongju is a space of beautiful scenery along the river Geumgang, and was the royal palace in the Baekje era, and there was Gammu for the provincial governor in the Joseon era, comprising various pavilions including Gongbukru pavilion. Gongbukru pavilion was a pavilion built north of Geumgang riverside in 1603 by the Cheongcheong‐do provincial governor, Yu Geun in the Gongsanseong Fortress as he was preparing Gammu of Cheongcheong‐do province, and played a spatial role of Yushik (遊息) and Jeonbyeol as well as functioning as Gwanbang (關防).
    After Yu Geun completed and built Gongbukru pavilion in 1603,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was written steadily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re are 94 poems in 86 subjects in the DB on the original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n terms of the form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there are 2 poems in 2 subjects in the classic Chinese quatrain with five‐character lines, 13 poems in 12 subjects in the five‐syllable regulated verse, 20 subjects 23 poems in the classic Chinese quatrain with seven‐character lines, and 56 poems in 52 subjects in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showing that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accounts for more than half. It is because Yu Geun's poems, the first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were the seven‐syllable regulated verse, and the poets of oncoming generations wrote this poetry a lot by rhyme‐matching (次韻).
    In the contents of Jeyeongsi poetry of Gongbukru pavilion in Gongsanseong Fortress, there are 24 poems which recited the beautiful scenery of Gongbukru pavilion, and 36 poems that revealed the inmost unburdened thoughts of journey, 26 poems revealing emotions of Yushik (遊息), and eight poems that reveal the emotions of historical retrospectives. It is because it was a space of beautiful scenery where Gongbukru pavilion was the ramparts of Gongsanseong Fortress, the royal palace and rural palace site of Baekje, a space with the view of the river Geumgang, a place of rest and entertainment for officials or envoys who perform public affairs, and the spaces of military camps where poets and experts in calligraphy and ink drawing could stay and expose the fatigue of the journ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