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皇龍寺의 가람 변천과 창건 과정 (The Process of Temple Structure Changes and Foundation of Hwangnyong Temple(Hwangnyongsa) in Sill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09
39P 미리보기
신라 皇龍寺의 가람 변천과 창건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7호 / 37 ~ 75페이지
    · 저자명 : 김정한

    초록

    본 연구는 6세기 후반기에 신라 황룡사의 가람 변천과 그 창건 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황룡사는 거대한 규모와 독특한 삼금당 구조, 장륙존상 안치, 황룡사구층목탑 건립에 의해 신라의 대표적인 국가사찰로 인식되었다. 그런데 창건가람은 17년의 공사 기간에 비해 북편에 승방이 있고 중앙에 금당이 자리한 미약한 형태였다. 삼금당 구조와 강당, 회랑 등의 시설은 진평왕 6년(584)에 갖추어졌다. 이를 보면 창건 당시 황룡사는 아직 국가사찰과 같은 위상이 부여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5세기 후반 이래 월성을 중심으로 왕경에 대한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왕권 강화 정책, 불교 수용, 영토 확장도 이루어졌다. 진흥왕은 영토 확장으로 늘어난 인구와 물자가 수도로 집중되는 상황을 해결하는 한편, 강력한 왕권에 걸맞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중국의 도성제를 모범으로 삼아 왕경 일신을 단행했다.
    첫 단계로 월성 동편의 저습지를 이루었던 현 황룡사지 일대에 궁궐 조영 공사를 시행했다. 그런데 저습지였던 환경은 궁궐 공사에도 어려움을 가져와 공사가 장기화되었다. 당시 신라는 대외 세력에 대한 방어와 새로 획득한 영토 운영 및 내부 갈등도 통제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왕경 일신 작업을 진행하면 국가 운영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었고, 궁궐만 조영한다면 궁궐이 왕경의 동편에 치우쳐 왕권 장엄과 국가 운영에 적합하지 않았을 것이다. 결국 진흥왕은 공사 막바지에 궁궐을 사찰로 변경하였다. 이는 저습한 환경을 상징하는 용의 출현이 궁궐이 아닌 사찰 창건의 계기였던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진흥왕은 황룡에 불교용과 전통신앙의 성격을 더하여 사찰 창건의 계기로 삼아 황룡사를 창건했다.
    황룡사는 갑자기 궁궐에서 사찰로 변경되어 창건되었고 완성된 모습도 미약했기 때문에 그 위상은 아직 높지 않았다. 그렇지만 황룡사 창건은 궁궐이 사찰로 대치될 수 있을 정도로 불교가 왕권에 중요한 수단이었음을 보여주었고, 월성 동편 일대의 왕경 확장의 단초가 되었던 점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Buddhist-temple changes and the founding process of Hwangnyong Temple (Hwangnyongsa, 皇龍寺) in Silla in the latter half of the 6th century.
    Hwangnyong Temple wa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Buddhist temple of Silla due to its massive size, unique three audience halls structure, placement of the sixteen-foot Buddha statue called Jangryukjonsang,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ine-story Wooden Pagoda. However, at its foundation, the Buddhist temple took a weak form compared to its construction period of 17 years, with the vihara in the northern side and the audience hall in the center. The facilities—such as the three audience halls structure, assembly hall, and corridor—were constructed in the 6th year of King Jinpyeong (584). Based on this, it seems that Hwangnyong Temple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has not yet been given a status like a national temple.
    Silla continued the development of the royal capital around Wolseong since the late 5th century. Along with this, policies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cceptance of Buddhism, and territorial expansion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olve the situation in which the population and goods increased due to territorial expansion were concentrated in the capital, while creating a city worthy of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King Jinheung carried out a renovation of the royal capital using the Chinese capital system as a model.
    As the first step,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building was conducted around the whole area of the present Hwangyong Temple, which was a wetland on the eastern side of Wolseong. However, the wetland environment caused difficulti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palace, leading to prolonged construction. At the time, Silla had to defend itself against foreign forces, operate newly acquired territories, and control internal conflicts. In these circumstances, renewing the capital would have put immense pressure on managing the nation, and building only the palace would not have been suited to the grandeur of the royal authority and governmental management as the palace is tilted to the eastern side of the capital. Finally, King Jinheung changed the palace to a temple at the last stage of the construction.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the dragon, which symbolizes a wetland, was the catalyst for founding a temple instead of a palace. King Jinheung founded Hwangyong Temple by adding the characteristics of a Buddhist dragon and traditional belief to the yellow dragon (Hwangnyong, 黃龍) as a chance of the temple establishment.
    Since Hwangyong Temple was founded by a sudden change from a palace to a temple and its completed appearance was insignificant, it did not hold a high status. Nevertheless, the founding of Hwangnyong Temple showed that Buddhism was an important means of royal authority, enough for a palace to be replaced by a temple. It was also a critical incident in that it became the beginning of expanding the capital in the whole eastern area of Wol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