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西厓 柳成龍의 「主宰說」에 대하여 (A Study on the 「Jujaeseol(主宰說)」 of Seoae(西厓) Ryu Sung-Ryong(柳成龍))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西厓 柳成龍의 「主宰說」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55호 / 127 ~ 158페이지
    · 저자명 : 문석윤

    초록

    西厓 柳成龍(1542~1607)은 그의 만년에 「主宰說」이라는 제목으로 짧은 글을 남겼다. 거기에서 그는 마음의 主宰를 확립하는 것을 聖學으로서의 학문의 착수처이자 종착지로서 제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主宰는 마음의 功能일 뿐 아니라, 몸을 적절하게 제어하고 본성을 충만하게 실현하기 위한 工夫의 기초이자 핵심이요, 또한 그 결과로서의 聖人의 최종의 경지 곧 功效를 의미한다. 서애의 이러한 관점은 도덕 실천에서 객관적인 理의 인식을 강조하는 朱子學的 입장과는 구별되며, 또한 本心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강조하는 陽明學的 입장과도 다르다. 그가 강조한 것은 도덕에 대한 형이상학적 정당화 혹은 이론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주체적 실천 의지였으며, 도덕 본체의 自然的 實現이 아니라 인간의 有爲的 實踐이었다. 그것은 孔子이래 儒敎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의 有爲的 實踐意志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葛庵 李玄逸(1627~1704)은 후에 서애의 主宰 개념이 지나치게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그의 비판은 주자학의 전통적 입장에서, 서애의 견해가 객관적 理의 主宰를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 자아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는 염려를 표출한 것이었다. 갈암의 비판에 대해 寒洲 李震相(1818~1886)은 서애의 主宰는 곧 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통 주자학이나 退溪學의 전통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변호하였다. 그러나 이는 한주 자신의, 마음과 理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입장에 대한 변호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서, 서애의 主宰說에 대한 적절한 변호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서애의 主意的 ‘主宰 心學’은 孔子 이래 유교의 실천의식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가 국가적 재난을 주도적으로 헤쳐 가는 과정에서 형성한 것이요, 또한 그러한 상황 속에서 그가 宰相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실제적 기여를 하였다.

    영어초록

    Seoae(西厓) Ryu Sung-ryong(柳成龍, 1542∼1607) in his later years wrote an short essay on the Mind entitled 「Jujaeseol(主宰說)」, which emphasized the role of the will in the moral practices. He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volitional control[(主宰)] of the mind as the start poin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ethod [(工夫)] and the final outcome[功效] of the Sage-learning[(聖學)]. He contended that on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volitional control of the mind we could control over the body, understand the real truth, and fully accomplish the possibilities of our Nature. Soeae’s position is different not only from that of Zhuzixue(朱子學) which emphasizes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Li(理) in the moral practices, but also from that of Yangmingxue (陽明學) which emphasizes the natural realization of the Benxin(本心). What he emphasized was not the natural realization of the moral substance but the volitional practice of human being. His volitional ‘Jujae(主宰) Xinxue(心學)’ can be understood as the succession of the heritage of Confucius and the result of his positive response to the national disas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