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저작권신탁관리업자의 공연사용료 배분에 관한 최근 분쟁 사례 연구 –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9다283725 판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cent Case about Music Copyright Trust Service Provider’s Distribution of Performance Fees - Focusing Supreme Court Decision 2019Da283725 Decided November 17, 2022)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03
42P 미리보기
음악저작권신탁관리업자의 공연사용료 배분에 관한 최근 분쟁 사례 연구 –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9다283725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수록지 정보 : 계간 저작권 / 37권 / 1호 / 221 ~ 262페이지
    · 저자명 : 정현순

    초록

    최근 대법원은 저작권신탁관리업자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회원인 저작권자들에 대해서 메들리 곡 관련 공연사용료 지급을 일부 제한하는 내용으로 개정한 분배규정과 그에 따른 사용료 배분이 신탁계약상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에 해당하는지 등에 관해서판단한 바 있다.
    이 사건에서는 먼저 유흥주점 등의 업주나 종업원이 고객 유치 또는 업소 분위기 향상 등의 목적으로 고객의 가창을 수반하지 않고 음악저작물을 노래반주기로 재생하는이른바 ‘공회전’이 저작권법상의 ‘공연’에 해당하는지 문제가 되었는데, 대법원은 노래반주기에 수록된 음악저작물을 영업시간 중 재생하는 것은 고객의 유무나 가창 여부에 상관없이 저작권법상 공연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메들리 곡에 대해서 일부 사용료 배분을 제한하는 내용으로 사용료 분배규정을 개정한 것이 현저히 불공정하여 무효이고, 분배규정의 개정과 그에 따른 사용료 배분이 신탁계약상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에 해당한다는 주장에대해서, 대법원은 피고에게 음악저작물의 공연사용료 분배 기준에 관해서 어느 정도 재량이 있음을 인정하면서, 이 사건에서 피고의 분배규정 개정이 사회 관념상 현저히 타당성을 잃은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고, 분배규정 개정 후에도 여전히 원고들에게 일부 사용료에 대한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원고들의 이익을 본질적으로침해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하여 원고들의 주장을 모두 인정하지 아니하였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사단법인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내부 규정인 사용료 분배규정의 개정이 현저히 불공정하여 무효인지 여부 및 분배규정 개정과 그에 따른 사용료배분이 수탁자로서의 채무불이행이나 불법행위가 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 최초로판단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다른 저작권 신탁단체들이나 저작권자들에게 선례로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Supreme Court ruled whether the distribution regulations revised by the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a music copyright trust service provider, partially restricting the payment of performance fees related to medley songs to member copyright holders and whether the distribution of fees constitutes default or illegal acts under the trust contract.
    In this case, it was first questioned whether the so-called “konghoejeon(playing karaoke machine without customer)” in which the owner or employee of karaoke plays the music work on a karaoke machine without accompanying the customer’s singing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customers or improving the atmosphere of the business was considered a “performance” under the copyright law, and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playing the music work contained in the karaoke machine during business hours could be considered a performance under the copyright law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stomer or his singing.
    Against to plaintiffs’ claims that the revision of the distribution regulations and the subsequent distribution of usage fees were illegal or defaulted on the trust contract,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had some discretion over the criteria for distributing performance fees for music works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defendant’s revision of the distribution regulations in this case had significantly lost validity in social ideas, and that it was difficult to regard the plaintiffs’ interests as essentially infringing on them, considering that some of the usage fees were still distributed to the plaintiffs even after the revision of the distribution regulations.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made it meaningful for other copyright trust organizations and copyright holders in that it ruled for the first time whether the revision of the rules on the distribution of user fees, an internal regulation of the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 was invalid because of the significant unfairness, and whether the revision of the distribution regulations and the subsequent distribution of user fees could be a default or illegal ac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