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조세법규 적용을 위한 소득구분 및 원천지 결정 - 과소자본세제 초과이자 및 미등록 특허사용료에관한 판례를 중심으로 - (Issues of Income Classification and Sourcefor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Taxation Rules- Focusing on the case of income classification of interest that was received in excess of the thin capitaliza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9.06
38P 미리보기
국제조세법규 적용을 위한 소득구분 및 원천지 결정 - 과소자본세제 초과이자 및 미등록 특허사용료에관한 판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조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세학술논집 / 35권 / 2호 / 91 ~ 128페이지
    · 저자명 : 최용환

    초록

    이 글에서는 국제거래에 적용되는 국제조세 관련 법규의 법원(法源)과 규범구조를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의 관계를 중심으로 5가지 상황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조세조약이 국내세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국내세법의 효력을 제한하는 상황이 일반적인 경우이고(상황 1),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을 적용할 때 조약상 정의규정이 있으면 이에 따르되 없다면 차용개념에 따라 국내세법의 정의를 사용하는 등 서로 참고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상황 2), 조세조약이 국내세법에 따른 과세처분 또는 이중과세방지 조치의 근거가 되는 경우(상황 3)도 있다. Preservation조항이나 Saving Clause가 적용되어 조세조약이 효력을 갖지 못하고 국내세법이 적용되는 경우(상황 4)도 있다. 그러나 실무상 가장 문제되는 것은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상황 5)인데 조세조약이 특별법으로서 국내세법에 우선하여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대상판결 1,2도 상황 5가 사실상 직, 간접적으로 문제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외국법인의 국내지점에 대한 과소자본세제 한도 초과이자의 소득 구분이 문제된 대법원 2018. 2. 28. 선고 2015두2710 판결(이하 ‘대상판결 1’)은 구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제28조에 따라 조세조약상의 소득 구분이 “법인세법 제93조에도 불구하고 적용된다”고 명시하고 있음에도 원천지국의 과세권 유무나 제한세율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그로써 국내세법상의 취급까지 달라지게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힌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앞서 살펴본 조약해석론에 비추어 타당한 해석이라 볼 수 없다. 반면, 대법원 2018. 12. 27. 선고 2016두42883 판결(이하 ‘대상판결 2’)은 미국법인이 특허권을 국외에서 등록하였을 뿐 국내에는 등록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에 대한 특허권 사용료를 국내원천소득으로 볼 수 없다는 종전 판결을 다시금 확인하면서 미등록 특허사용료의 경우 국내에서 특허권의 사용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특허권의 “사용” 여부를 특허의 등록지를 기준으로 확정하는 것은 등록된 곳에 경제적으로 보호가치 있는 법률상 이익이 존재한다는 경제적 연관성을 고려하는 사법상 기본원칙에 따른 것으로, 지적 재산권의 사용료에 대한 조세조약상 과세권 배분기준으로도 적합한 기준이 된다는 점, 당사자의 진의 또한 등록된 특허권에 대한 합의금 내지 사용대가라는 점에서 대상판결의 입장은 사적자치의 원칙에 부합하는 타당한 해석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ses the sources of law and the regulatory structure of international tax law, as applicable to international transaction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treaties and domestic tax laws. In doing so, the article assumes the following five situations: Ordinarily, it is common that the tax treaty directly affects domestic tax law, thereby limiting the effect of domestic tax law (Situation 1), but there are also situations where the tax treaty and the domestic tax law refer to each other in their application (Situation 2) or where the tax treaty becomes the basis for a tax assessment or a measure against double taxation in accordance with domestic tax law (Situation 3). There are also situations where preservation or saving clauses apply, as a result of which the tax treaty has no effect and domestic tax law applies (Situation 4). However, the situation that is most problematic in practice is that where a tax treaty and domestic tax law conflict with each other (Situation 5), and the Supreme Court cases discussed in this articl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 to this situation.
    In this regard,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2710 dated February 28, 2018 concerns income classification of interest that was received in excess of the thin capitalization rules applying to a domestic branch of a foreign company.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lthough income classification under the relevant tax treaty “applies despite Article 93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by virtue of Article 28 of the Law on the Coordination of International Tax Affairs, this only affects the question of taxation right of the source country or the applicable tax rate, etc., but not treatment of the income under domestic tax law itself. This deci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the foregoing, but considering the interpretation of tax treaties discussed above, the author cannot agree with the Supreme Court’s interpretation. Meanwhile, Supreme Court Decision 2016Du42883 dated December 27, 2018 reaffirmed the existing case law that where a U.S. company registered its patents only overseas but not in Korea, the relevant royalties cannot be considered Korean-source income. This finding of the Supreme Court is reasonable and justified considering that determining “use” by reference to the location of the patent’s registration is a basic principle reflecting economic relations and which further provides an appropriate standard for allocating taxing rights under tax treaties with regard to royalties. It further appropriately reflects the fact that the intention of the parties also is that the royalties are an agreed payment or compensation for use of the underlying registered pa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학술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