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본 염불의 의미 - 柳宗悅의 『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 (Meaning of Buddhist Prayer from the Perspective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 Focusing on Yanagi Soetsu‘s Namo Amituofo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12
29P 미리보기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본 염불의 의미 - 柳宗悅의 『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0호 / 89 ~ 117페이지
    · 저자명 : 유소정

    초록

    인간의 욕망이 기술의 발전을 탄생시켰으나 욕망은 채워지지 않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의 소외라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불교의 가르침에 기반한 윤리 제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공감하는 인간’을 언급하고, 이를 위해 염불신앙을 통한 충격완화라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오늘날 염불의 의미, 염불자와 불보살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바라볼 것인가란 문제제기를 하고, 야나기 무네요시의 『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공감과 공명의 원리를 통해 보면 염불은 소통과 치유 그리고 치료적 동맹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무아미타불 명호를 부르는 것은 아미타로부터 유발된 공명이자, 염불자의 믿는 마음을 통해 나무아미타불하고 서로 응답하는 것이다. 또한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으로 상호의존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공감을 뛰어넘어 공명 단계를 지향한다. 삶 속에서 염불을 권진하는 것은 정토종에서 말하는 공생의 길이다. 공명은 또 다른 공명으로 이어지고 공감은 ‘공명하는 공감’으로 진화한다.
    염불이 치료로서의 중요한 역할에 사용될 수 있고, 인간의 정신문화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염불을 통한 치유명상 콘텐츠 개발과 정토사상에 기반 한 심리상담 개발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불교의 새로운 포교적 대안으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법포교의 또 다른 방법도 될 수 있다.

    영어초록

    Human desire has spawn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desire is not satisfied. Thus,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s occurring.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nact ethics based on Buddhist teachings. This paper refers to the ‘empathetic humans‘. as a new paradigm of this era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impact mitigation through Buddhist belief. Today, we raise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ist prayer, the relationship between he prayer and Buddhist saints, and sought to suggest potential for new understanding, focused on Yanagi Soetsu‘s Namo Amituofo.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meaning of Buddhist prayer viewed from the angles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empathetic relations, the power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further alliance for healing. Praying of Namo Amituofo is Buddhist prayer as an answer to the faith as well as the resonance prompted from Amitabha. Also empathy means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othe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our mutually-dependent relationships. Buddhist prayer also enables the communication, which is pursuant of the stage of resonance beyond empathy. Recommending Buddhism to others while we live is a way for coexistence as mentioned at Pure Land Buddhism. Along the way, a resonance triggers another one and empathy evolves into ‘resonating empathy‘.
    Buddhist prayer can be used as a therapy and may provide new ideas and skills to improve human welfa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sychological counseling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ealing meditation contents through Buddhist prayer and the idea of Pure Land Buddhism. It is not only valuable as a new propagandistic alternative to Korean Buddhism, but it can be another way of propagan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