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명보험산업 보험료 성장률 예측계량모형 비교 (Evaluations of the Predictive Models for Life Insurance Premium Growth Rat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9
26P 미리보기
생명보험산업 보험료 성장률 예측계량모형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9권 / 3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전성주, 조영현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생명보험산업 개인보험료 성장률을 전망할 수 있는 예측계량모형들의 예측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일변수 자기회귀(AR) 예측모형과벡터 자기회귀(VAR) 예측모형, 특정 거시경제변수를 선행지표로 사용하는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 예측모형, 많은 수의 거시경제변수로부터 소수의 체계적인 동인들을 추출하여 구성한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 예측모형의 예측성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먼저, 생명보험산업의 수입보험료 성장률을 예측하는 경우 AR 예측모형의 예측오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나타내었다. 특히, 사망수입보험료 성장률의 경우 AR 예측모형이 VAR 예측모형과 경기동향지수예측모형의 예측오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예측오차를 나타내었다. 초회보험료 성장률을예측하는 경우 각 모형들의 예측오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야별초회보험료 성장률에 대한 예측오차가 모두 10%를 초과할 정도로 크게 나타나 실제 전망에사용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orecasting models to predict the Korean life insurance premium growth rates. Comparisons are made for the Vector Auroregressive (VAR) predictive model, the multivariate leading indicator model, and the diffusion index model proposed by Stock and Watson (2002) against the Univariate Autoregressive (AR) predictive model as a benchmark.
    We compare each model’s predictability for the total premium incomes and the initial premium incomes of three types in the individual insurance; protection, endowment and annuity. The complete quarterly data spans from the second quarter of 1986 to the first quarter of 2014.
    The lag selection for AR and VAR forecasting models depends on the 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BIC) with the maximum number of lags set to 4. For the multivariate leading indicator model, we use 4 leading indicators of GDP growth rates, inflation, education, and age. In order to avoid data mining concerns, we select the variables that have been found to be the determinants of life insurance demands by previous studies.
    The diffusion index model is an approximate dynamic factor model that relates the future life insurance premium growth rates to a number of factors estimated by principal components using a large number of macroeconomic variables. The set of macroeconomic variables consists of 57 variables representing 6 main categories of macroeconomic time series: demand for final output; balance of payments and international trade; price indexes; money, interest rates and financial markets; labor, production and population; and world variables. We also include in the data set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life insurance industry such as the industry’s total asset returns, claims paid and etc.
    In predicting total premium income growth rates, the AR predictive model produces the smallest mean squared predictive errors (MSPEs). For the premium incomes of protective insurance all the forecasting models have the MSPEs less than 3%. But they become unreliable in predicting the premium incomes of annuity with producing the MSPEs more than 10%. When we test the null hypothesis of no difference in MSPEs, it is rejected at 5% significance level for the VAR and the diffusion index predictive models when we forecast the total premium income growth rates of protective insurance.
    In predicting initial premium income growth rates, we find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SPEs of each model. In addition, all the models have MSPEs more than 10% so that we may not be able to depend on any model to forecast in practice.
    We conclude that it may not be beneficial to take advantage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macroeconomic variables for predicting life insurance premium growth rates. I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insurance contracts in Korea charge monthly premiums, which induces heavy autocorrelations among quarterly insurance premium data and makes an AR forecast very effective. Rho and Shin (1998) also found that macroeconomic variables are not likely to influence on insurance demands as is largely determined by insurer’s push-marketing. Policy holders cannot surrender their insurance contracts without heavy penalties, which makes them not so much responsive to macroeconomic environments. Lastly, life insurance demands are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insurance regulation and taxation,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for by our estimation procedure due to the lack of time series observ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금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