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올드보이>에 나타난 외화면의 활용: 롱테이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Use of Off-Screen Space in the movie Old Boy : Focused on the combination with Long Tak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11
24P 미리보기
영화 &lt;올드보이&gt;에 나타난 외화면의 활용: 롱테이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7권 / 3호 / 35 ~ 58페이지
    · 저자명 : 양영철

    초록

    영화 <올드보이>는 2003년에 만들어진 박찬욱 감독의 세 번째 영화로 예술성과 대중성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 영화를 롱테이크 영화라고 규정할 수는 없지만, 감독은 결정적 순간마다 관습의 한계를 넘어서는 쇼트의 지속을 통해 인물과 그를 둘러싼 환경을 좀 더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에 속하는 이 영화는 정교한 플롯 구조 속에서 의도적으로 감춰진 진실이 점차 드러나는 이야기 구조를 갖는데, 시각화의 측면에서도 숨김과 노출을 통해 도움을 받고 있다. 롱테이크는 짧은 쇼트들을 이어붙인 일반적인 몽타주 장면과 비교할 때 외화면을 더욱 활성화하는 효과를 유발하는데 길게 촬영된 쇼트에서 주요한 피사체를 상상과 추측의 영역인 외화면에 가려놓았다가 적절한 순간에 드러내는 것이다.
    <올드보이>는 다양한 연출기법이 버무려진 영화지만 몇몇 장면에서 롱테이크와 외화면이, 혹은 이 둘이 결합되어 절묘하게 사용되었다. ‘장도리 격투신’으로 불리는 사설감옥 싸움 장면에 대해 감독은 인물이 서서히 지쳐가는 모습을 더욱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롱테이크로 촬영했다고 밝힌 바 있다. 본 고는 총 5개의 장면을 통해 감독이 외화면과 롱테이크를 활용하여 어떤 효과를 거두는지 분석했다. 현대영화에서 롱테이크와 외화면은 고전적인 편집을 넘어서는 확장된 연출 기술로 간주되는데, 박찬욱 감독 역시 영화적 표현을 위한 스타일 재료로 그것들을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Old Boy is Park Chan-wook’s third film, made in 2003, and is considered to have balanced between artistry and popularity. Although this film cannot be defined as a long-take film, the director attempted to portray the character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im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shots that go beyond the limits of custom at every critical moment.
    The film, which belongs to the mystery thriller genre, has a story structure that gradually reveals the truth, which is intentionally hidden in a sophisticated plot structure, and is also helped by hiding and exposing it in terms of visualization. Long takes cause the effect of activating ‘Off-screen space’ even more compared to ordinary montage scenes with short shots. In a long take, the main subject is obscured by off-screen space, the realm of imagination and speculation, and then revealed at the right moment Old Boy is a film with a mixture of various directing techniques, but in some scenes, Long takes and Off-screen space are exquisitely used. Regarding the scene of a private prison fight called “Jangdori Fighting Scene” the director said that he filmed it with a long take to show the character slowly getting tired.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the director using of long takes and off-screen space through a total of five scenes. In modern films, the use of long takes and off-screen space is an extended directing technology beyond classical editing. Director Park Chan-wook also used them as materials of style for cinematic ex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