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Just Peace and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On the Theory of Reunification in Byung Mu Ah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55호 / 141 ~ 172페이지
    · 저자명 : 강원돈

    초록

    본 논문에서 나는 1) 심원(心園) 안병무(安炳茂) 선생이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논한 정의와 평화의 관계를 규명했고, 2) 분단된 한반도 현실에서 정의와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가 제시한 “민에 의한 통일”의 구상을 분석했다.
    정의와 평화의 관계와 관련해서, 심원은 정의가 무엇인가를 바르게 물을 수 있는 자리를 찾았고, 그 자리가 민중의 자리임을 확신했다. 민중을 억압하고 수탈하고 주변화하는 기득권 구조를 해체하고 민중을 해방하지 않고서는 정의를 말할 수 없고, 정의가 실현되지 않는 곳에서 평화를 운위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심원은 정의에 근거한 평화를 말한 것이다. 정의에 근거한 평화의 비전으로부터 공동체 형성과 관련된 세 가지 원칙을 이끌어낼 수 있는데, 민중이 주체가 되는 민주주의의 원칙, 공공성을 위한 소유권 주장의 제한의 원칙, 평화의 수단으로서의 전쟁에 대한 단호한 거부의 원칙이 그것이다.
    “민에 의한 통일”의 구상에서 심원은 정의에 대한 염원을 갖고 기득권의 해체를 위해 투쟁하는 민중이 통일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러한 민중이 주체가 되어 전개하는 통일 운동에서는 분단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운동과 통일을 성취하기 위한 운동이 서로 단계를 달리 하면서도 일관성 있게 결합되어야 한다. 심원이 말하는 “민에 의한 통일”의 운동은 다섯 가지 원칙들을 담고 있는데, 그 원칙들은 오늘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1) 분단의 극복과 통일의 성취가 전쟁 배제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 2) 민중이 분단 극복과 통일 성취 과정을 주도하여야 한다는 원칙, 3) 민중의 관점에서 분단체제를 전향적으로 해체하여야 한다는 원칙, 4) 민주주의, 공공성을 위한 소유권 주장의 제한, 민중의 실질적 권력 통제 등의 내용을 담는 통일공동체의 청사진(통일헌법)을 민중 주도로 마련해야 한다는 원칙이 그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article I have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of justice and peace in the Minjung theology of Ahn Byung Mu and then analyzed 2) his proposal of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to achieve justice and peace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s for the relationship of justice and peace, Ahn searched for the place to ask properly what justice is, and convinced that it is the place of the Minjung. Where the Minjung are not liberated from the existing structures in which they are oppressed, exploited and marginalized, there is no justice. Without justice it is impossible to speak of peace. In a word, Ahn argued a peace based on justice. In his conception on the peace based on justice he put emphasis on three following principles: democracy initiated by the Minjung, restriction of property for the sake of the public integrity, decisive rejection of war as means of peace.
    In his proposal of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Ahn made clear that the reunification process should be initiated by the Minjung who struggle for dismantling the privileged structures and promoting the justice in Korean society. In their reunification movements Ahn distinguished the movement to overcome the national division from the movement to achieve the reunification, but these two movements must consistent with each other. His proposal of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contains the following four principles: 1)the principle that war should be decisively rejected of war in the process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to achieve the reunification, 2) the principle that the Minjung should initiate the process to overcome the division and to achieve the reunification, 3) the principle that the system fixing and reinforcing the national division should be dismantled prospectively in terms of the Minjung, and 4) the principle that Minjung-initiated democracy, restriction of property for the sake of the public integrity, people's actual control of the power etc. should be settled in the blueprint for unified commonwealth, that is,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unified Korea.
    I think that the above mentioned four principles of “the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are still valid in the Korean situation of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