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크라테스와 정의롭지 않은 법률의 준수 문제 (Socrates and Unjust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1
40P 미리보기
소크라테스와 정의롭지 않은 법률의 준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63권 / 4호 / 1 ~ 40페이지
    · 저자명 : 하재홍

    초록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가 악법도 법이라 말했다는 견해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은 소크라테스가 악법이 법이라 말했다는 것이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오랫 동안 교육과정에 포함해왔다. 1990년대 초반에 강정인, 권창은 교수가 이에 관해 반론을 제기한 것을 계기로 국내에서 여러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그 결고 악법이 법이라는 악명높은 주장과 소크라테스를 분리하는 과업을 어느 정도 성취했다. 법학계의 경우에는 사정이 동일하지 않다.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이 긴장과 대립이 유지되고 있어, 악법 문제에 대해 간단하게 자연법론의 승리를 선언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봉철 교수는 2013년에 발표된 논문에서 소크라테스와 그 후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모두 악법이 법이라는 견해를 공유했으며, 심지어 아퀴나스조차도 그런 견해를 표명했다고 주장했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반론으로 악법의 문제에 대해 소크라테스가 전거가 될 수 없다는 점, 아퀴나스는 정의롭지 않은 법은 법이 아니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를 인용해 정의롭지 않은 인정법은 법이 아니라 폭력이라 주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크리톤』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입장은 노모스에 대한 고대 아테네인의 관념을 떠나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했다. 노모스는 타인에게 악을 행하지 말고 올바르게 행동하라는 것 이상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런 전제에서만 노모스에 따르는 것은 곧 정의로운 것이라는 주장이 이해될 수 있다. 노모스를 따른다는 것은 개별 실정법에 대한 예외없는 준수를 의미하지 않는다. 현대인이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간단히 준법은 정의라는 식으로 이해한다면 많은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모든 실정법에 대한 철저한 준수를 강조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iew critically the claim that Socrates said that laws that are not justice are laws and should be abided by. In the past, authoritarian regimes of South Korea have long included the tragedy of Socrates in the moral curriculum as if it were a historical fact that Socrates said unjust laws were laws and should be abided. In the early 1990s, several studies were published in Korea in the wake of professors Kang Jung-in and Kwon Chang-eun's counterargument, which achieved some of the tasks of separating Socrates from the notorious claim that unjust law is a law. In the case of the legal academy, the circumstances are not the same. The failure is because legal positivism and natural law theory maintain tension and confrontation till now, so they do not simply declare victory in natural law theory on the issue of an unjust law. In a paper published in 2013, Professor Choi Bong-cheol argued that Socrates and his descendants, Plato and Aristotle, all shared the view that unjust law is a law, and even Aquinas expressed such a view. This paper rebuts that Socrates cannot be the basis for legal positivism, and upon Augustine's views, Aquinas said an unjust laws outrages rather than laws. This article also pointed out that Socrates' positions in Crito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ancient Athenian notion of Nomos. Nomos does not mean more than not doing evil to others and acting justly, and that following Nomos is justifiable only on such a premise. Following Nomos does not mean unexceptional compliance with every law. If modern people understand Socrates' teachings in a way that unconditional compliance is justice, there can be many misunderstandings because Socrates did not emphasize thorough compliance with all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