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스트롬의 커먼즈 이론 관점*에서 들여다본 도시커먼즈의 재해석: 커먼즈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A Reinterpretation of Urban Commons from the Perspective of Ostrom’s commons Theory: Focusing on the Commons Component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03
49P 미리보기
오스트롬의 커먼즈 이론 관점*에서 들여다본 도시커먼즈의 재해석: 커먼즈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간과 사회 / 34권 / 1호 / 151 ~ 199페이지
    · 저자명 : 안명희, 이태화

    초록

    커먼즈는 공통의 유·무형 자원 관리와 관련된 일련의 사회적 관행, 가치, 규범을 만드는실천적 과정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 글은 오스트롬과 다른 연구자들이 전통적 자원을 대상으로 제시한 커먼즈에 대한 실증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커먼즈에 적용되는 커먼즈의보편성과 도시적 맥락의 특수성을 동시에 검토함으로써 도시커먼즈 이론화에 기여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커먼즈의 구성요소인 자원, 공동체, 제도(commoning)를 중심으로쟁점을 구체화하고, 이를 통하여 도시커먼즈의 재해석을 시도한다. 주요 쟁점으로는 인간과 자원과의 관계가 ‘사적 소유권과 그 이외 관계’로 설명되었던 점, 전통적 커먼즈는 폐쇄적인 반면 도시커먼즈는 개방적이라고 통용되는 점, 그리고 커먼즈 공동체에 대한 통념에대해 다루었다. 자원과 인간의 관계와 관련해서는 사적 소유권에 경도된 개념적 경로의존성을 벗어나 공통자원의 내재적 속성으로서 공공성을 조명함으로써 공통자원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커먼즈 이론에서 폐쇄성 근거로 거론되는 ‘경계’는 자원 사용에 대한 배제의 의미라기보다는 자원 사용자의 범위, 즉 공통자원에 대한 자기조직화와 자치가 실행되는 범위임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커먼즈 공동체는 동일한 신념을 바탕으로 구성된무리가 아니라 공통자원을 기반으로 자원 사용자 간의 교류, 학습을 통한 호혜적 관계와 신뢰 구축의 공간이며 자치규범이 작동되는 영역임을 제시한다. 덧붙여 도시커먼즈를 도시의맥락적 특성(집합성, 다양성, 복합성, 연결성)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도시커먼즈는 전통적커먼즈와 달리 도시 거주자의 일상의 삶과 도시 자체가 커먼즈 자원이 될 뿐 아니라 각 도시커먼즈가 개별적이며 독립적이되 내포된 관리단위로 조직화 되어 있어 유기적 연결망의 일부가 된다. 향후, 자본주의에 포화되어 있는 도시에서 도시커먼즈 발화를 위한 실천방안과도시커먼즈와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도시정부 간의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한 제도화 방안등의 연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commons is defined as a pragmatic process that crafts a series of social practices, values, and norm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common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the theorization of urban commons by simultaneously examining the universality of commons, as applied to urban contexts, and the particularities of urban settings, grounded in the empirical studies and theories of commons presented by Ostrom and others concerning traditional resources. It focuses o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commons—resources, communities, and institutions (commoning)—to articulate and scrutinize issues, thereby attempting a reinterpretation of urban commons. Key issues includ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esources traditionally explained through ‘private ownership and beyond,’ the prevalent view of traditional commons as closed versus urban commons as open, and common notions regarding commons communit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humans, this examination seeks to transcend the conceptual path dependency skewed towards private ownership, illuminating the public nature inherent in common resource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common resources. The ‘boundaries’ mentioned in commons theory as a basis for exclusivity are suggested not so much as markers of exclusion from resource use but rather as indicators of the scope within which self-organization and autonomy of resource users, that is, the operational domain of common resources, take place.
    Finally, commons communities are not merely assemblies based on identical beliefs but spaces for reciprocal relationships and trust-building through the interaction and learning among resource users, governed by autonomous norms. Furthermore, examining urban commons in connection with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collectivity, diversity, complexity, connectivity) reveals that unlike traditional commons, urban commons transform the daily lives of city dwellers and the city itself into common resources, organizing each urban common as an independent yet interconnected management unit within an organic network. Future research is necessitated on practical approaches for igniting urban commons within cities saturated with capitalism and on institutionalizing collaborative relations between urban commons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through city gover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