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울의 호세아 인용과 이방인 구원이 무슨 상관이 있는가?: 롬 9:25-26에서의 호세아 사용 연구 (Paul’s Use of Hosea in Romans 9:25-26 Revisite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7.09
39P 미리보기
바울의 호세아 인용과 이방인 구원이 무슨 상관이 있는가?: 롬 9:25-26에서의 호세아 사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연구 / 16권 / 3호 / 71 ~ 109페이지
    · 저자명 : 김경식

    초록

    로마서에서 바울이 인용하는 호세아 본문은 바울의 구약사용을 이해하려는 이들에게 난해본문가운데 하나이다. 로마서 9장에서 바울은 이방인의 구원문제가 구약에 예언된 사건이라고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호세아 2장을 인용한다. 하지만 호세아 2장은 이방인들의 구원문제와는 무관하고, 오히려 북이스라엘의 회복과 구원을 다루는 내용이다. 따라서 바울은 이방인의 사도로서 자신의 신학인 이방인의 구원을 뒷받침하기 위해 구약 호세아 본문의 의미를 완전히 왜곡하여 인용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바울이 인용하는 호세아 2장과 바울의 구약본문해석 과정을 탐구하여 바울이 호세아서를 읽어낸 과정이 정당한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바울이 호세아서의 원래 의미와 문맥을 무시하고, 구약 문맥과 전혀 관계없는 이방인들의 구원문제를 호세아 본문에 주입해서 해석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기존 학자들이 분석한 바울의 호세아 인용과 해석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비평적으로 다루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바울이 호세아 본문의 의미를 잘못 해석했다는 결론을 내린다. 반면 바울이 호세아 본문의 원래의미인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을 그대로 로마서에 가져와 사용한다고 보는 학자도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호세아서에 새언약 사상이 암시되어 있기 때문에 호세아서에서 이방인들의 구원문제를 읽어 낼 수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기존의 견해와 달리 본 논문은 바울이 호세아서를 정당하게 읽고 해석하고 있음을 밝힌다. 바울은 호세아 2장에 암시된 아브라함언약 사상과, 종말의 구원을 새출애굽사건으로 묘사하고 있는 개념을 근거로 이방인들의 구원을 호세아 본문에서 읽어 낼 수 있었음을 제시한다. 바울에게 아브라함언약은 이방인들의 구원을 설명할 때 매우 중요한 사상이다. 또한 구약에는 새 출애굽 사건과 열방의 시온에로의 종말론적 순례사상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바울이 호세아서 2장의 새 출애굽 사건에 암시된 이 열방의 종말론적 순례사상을 기초로 이방인의 구원을 읽어 냈을 가능성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결국 바울의 호세아 인용과 해석은 호세아 본문과는 동떨어진 해석이 아니라, 호세아 본문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의 씨앗을 바울이 로마서에서 열매로 거둔 결과라고 본 논문은 결론짓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s into Paul’s use of Hosea in Romans 9:25-26. Paul’s interpretation of Hosea in Romans is one of the difficult passages for those who try to explain Paul’s use of the Old Testament. Paul cites two passages from Hosea in order to support his argument that God called not only Jews but also Gentiles for salvation. The logical relation between Paul’s argument in Romans 9:24 and his citation from Hosea to support the argument in the following verses is straightforward. However, Paul’s use of the Old Testament in this passage seems to distort the original meaning of Hosea because the cited texts from the minor prophet does not refers to the salvation of Gentiles. Rather, the cited texts is related only to the restoration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This study tries to explain and justify the hermeneutical process of Paul in his use of Hosea in Romans 9. Our analysis focuses on whether the Apostle misunderstood or distorte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minor prophet and thus he read his theology of gentile mission into the OT text. In doing so, we surveyed the previous scholarly views on Paul’s use of Hosea in Romans 9 and evaluated their validity in understanding Paul’s citation from Hosea. Majority of scholars have argued that Paul misread the Hosea texts. But, some argued that Paul respected the original meaning of Hosea, that is, restoration of Israel, bringing its meaning into Romans 9. Another interesting view is that the Apostle understood the Hosea text in the light of ‘New Covenant’ idea which is implied in Hosea from which Paul cites in Romans 9. Unlike the earlier studies on Paul’s use of Hosea in Romans, our study argues that Paul’s understanding of Hosea in Romans is justifiable in that he respects the original meaning of Hosea to refer to salvation of Israel. In addition, we also demonstrate that Paul’s argument for salvation of Gentiles on the basis of Hosea 1-2 is also justified when we read the broad context of the cited Hosea texts more closely.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covenant of Abraham is implied in Hosea text 2:1 which says that “the number of the children of Israel shall be like the sand of the sea.”Accordingly we argue that Paul understands the Hosea text in the light of the Abrahamic covenant so that the apostle see Hosea as referring to inclusion of Gentiles for salvation because for the apostle, the covenant of Abraham is always related to salvation of gentiles. Furthermore, we maintain that Paul reads the new exodus idea which implied in Hosea text which predicts that “the children of Judah and the children of Israel shall go up from the land.”For Paul, the idea of ‘new exodus’ always includes the nations’eschatological pilgrimage to Zion as Isaiah 11 shows. Paul uses the semantic potential of gentile salvation implied in Hosea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both the Abrahamic covenant and the idea of new exodus, leading to gentiles’coming to Zion for salvation. Paul’s reading of Hosea in Romans is related both to restoration of Israel and to salvation of gentiles on the basis of such semantic potential. In summary, Paul does not distort the original meaning of Hosea. Rather he closely reads Hosea and develops the original meaning. We conclude that Paul’s interpretation of Hosea is the hermeutical fruit originated from the semantic seed planted in the text of Ho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