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할 수 없는 탄식(롬 8:26): 무언인가? 방언인가? (Inarticulate Groanings(Romans 8:26): Silent Prayer? or Prayer in Tongu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12
26P 미리보기
말할 수 없는 탄식(롬 8:26): 무언인가? 방언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15권 / 4호 / 961 ~ 986페이지
    · 저자명 : 김동수

    초록

    로마서 8장 26절에 나오는 “말할 수 없는 탄식”이 무엇인지에 관해서 그 동안 학문적인 토론이 주로 외국 학자들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 로마서 주석가들이 이 구절을 다룰 때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 주제에만 천착한 논문은 한 편도 나오지 않았다. 이 어구의 의미는 로마서 8장을 해석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것인데, 이 주제에 대한 논문이 우리 학자에 의해서 한 편도 쓰여지지 않았다는 것은 의외다. 이에 본 논문은 “말할 수 없는 탄식”이 그 동안 학자들이 제안한 대로 무언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방언을 의미하는 지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다. 우선, 본 논문은 학자들의 주류 의견인 이것이 방언을 지칭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대해서 5가지 요목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각각의 주석적, 논리적 토대라 확고하지 않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어, 본 논문은 바울이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말하는 사적인 기도로서의 방언과 “말할 수 없는 탄식”이 그 특성에 있어 우연이라고 할 수 없을 만큼 상당히 유사함을 들어 이 어구가 방언을 지칭할 개연성이 높음을 보여줄 것이다. 나아가, “탄식”이라는 어구가 바울 신학의 연약함 속에서 외치는 신자의 부르짖음에 잘 어울리며, 로마서 8장 본문에서 이 어구를 통해서 바울은 성령이 직접 신자를 인도해서 기도하는 방언 기도를 통해 신자와 성령의 감정 연합을 꾀하려 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본 논문의 견해는 “말할 수 없는 탄식”이라는 어구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행하는 성령의 무언의 기도라는 것보다는 로마서 8장 문맥과 바울 신학 전체에서 더 잘 어울린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hot debates among New Testament scholars, mostly from outside, concerning the meaning of the phrase "stenagmoi/j avlalh,toij" in Romans 8:26. Even one scholarly article on that, then, has never been written in Korean. This fact is not without surprise in that this phrase is of crucial importance to interpret the whole chapter of Romans 8. This paper concern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bove phrase refers to the tongue-speaking or not. First, it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arguments that it cannot designate the tongue-speaking. It attempts to prove that each of such an argument is not valid. In addition, it does not have sound exegetical and logical foundations. Second,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collected data lead us to suggest that there are more probability than has generally been thought that it can refer to the tongue-speaking. The data are as follows.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heir features between the speaking in tongues in Corinthians 14 and inarticulate groanings in Romans 8:26. Further, the inarticulate groanings as the tongue-speaking does fit to the Pauline theology. I hope that this paper stimulates Korean NT scholars to engage in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more lively than bef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