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스트롬(N. Bostrom)의 인간향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Human Enhancement by N. Bostrom)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12
19P 미리보기
보스트롬(N. Bostrom)의 인간향상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4권 / 6호 / 5 ~ 23페이지
    · 저자명 : 우정길

    초록

    본고는 근래 트랜스휴머니즘‧포스트휴머니즘 진영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간향상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인간향상론은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현대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인간과 기계의 혼종화, 인간의 유전학적 개입‧조작 등을 통해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개조와 개선을 이루어 포스트휴먼의 단계로까지 진화해 나가자는 트랜스휴머니즘‧포스트휴머니즘 진영의 제안이다. 본고는 그 대표적 학자인 닉 보스트롬의 학술적 제안의 인간학적‧교육학적 토대와 논리구조를 중심으로 인간향상론을 고찰하되, 인간향상론과 교육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밝혀내고 이 둘의 임계점에서 교육학이 지향해야 할 바를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스트롬의 인간향상론이 근대 계몽주의 교육인간학을 계승하고 있다는 학계의 견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면서, 교육학과 인간향상론은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상이한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되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또한 교육학이 과도한 유토피아 지향과 낙관적 도구주의를 경계하여야 함과 동시에 휴머니즘의 본령에서 그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roach of Human Enhancement, recently suggested from the camps of transhumanists and posthumanists.from a critical and pedag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is an modern attempt to transform the current human being into the next better stage of humanity, the so called posthuman which can be made with the help of the modern and future high technologies of hybridzing of human and machine, biotechnology and molecular nanotechn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manipulation. Focusing on Nick Bostrom, one of the leading voices in the camp of transhumanists and posthumanists, we examine the anthropological-pedagogical basis and logic, reveal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raditional, in particular the pedagogy of enlightenment, and human enhancement, which insisted to succeed the enlightenment tradition in education. Through this review,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approach of human enhancement is, despite its similarities with education in both of utopian idealism and dichotomy in anthropological understanding, neither a modern successor of the enlightenment spirit of humanism nor has something to do with enlightenment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 that the contemporary education should stand apart from the excessive orientation toward the utopianism and blind optimistic instrumentalism and that it needs to defend the traditional position and proper function of humanism and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