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인식론의 전통에서 분별지(kalpanā) 정의 (Analysis on the definition of kalpanā in the traditional Buddhist epistemolog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8
27P 미리보기
불교 인식론의 전통에서 분별지(kalpanā) 정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41호 / 365 ~ 391페이지
    · 저자명 : 박기열

    초록

    디그나가는 분별지를 “nāmajātyādiyojanā”라고 정의한다. 이에 대해 지넨드라붓디는 PSṬ에서 ‘명칭’과 ‘종류 등’이 대상과 결합하는 행위의 주체가 대상을 이해(pratīti)하는 것이 분별이라는 취지로 해석한다. 즉 ‘명칭’은 실재하는 것이고 ‘종류 등’는 비실재로 그것은 동등한 입장에서 병렬적 관계에 놓일 수 없음을 지적한다. 한편 그가 ‘pratīti’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 등은 다르마키르티의 영향으로 보인다.
    산타락시타와 카말라쉴라는 이 복합어의 해석을 둘러싸고 “명칭과 종류 등의 결합을 가진 인식” 또는 “명칭과 종류 등의 결합”이라는 두 가지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자는 소유복합어로 명칭과 종류 등이 결합한 어떤 인식이 분별지라는 의미이고 후자는 한정복합어로 명칭과 종류의 결합 그 자체가 분별지라는 의미이다. TSP는 최종적으로 디그나가의 자주(vṛtti)를 근거로 “종류 등에 의해서 명칭과 결합한 인식”이라고 해석하여 ‘종류 등’을 명칭이 결합하는 형태들로 파악한다.
    다르마키르티는 분별지를 언어(abhilāpa)와 결합 가능성이 있는(yogya) [형상의] 현현(pratibhāsa)을 가진 이해(pratīti)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디그나가의 정의를 다르마키르티 자신의 언어로 표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디그나가의 것과 의미상의 차이는 없다. 다만 “(결합의) 가능성이 있는”, “현현”, “이해”라는 그의 정의에 나타나는 새로운 정보는 디그나가의 정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해 준다.
    다르못타라는 “가능성이 있는”을 언어 표현의 가능성 즉 내적 관념도 분별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현현”이라는 말의 해석에 있어서는 지식의 二相性을 도입하여 분별지의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목샤카라굽타는 다르마키르티의 분별지를 언어 표현의 가능성과 내적 관념은 물론 동물 등에게까지 적용한다. 이것은 기억과 같은 인식 작용까지 분별지의 개념으로 확장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Dignāga defines conceptual construction (kalpanā) as what connects with “name, gneus, etc. with a thing” (nāmajātyādiyojanā). Funayama introduces Śāntarakṣita and Kamalaśīla’s wondering in analyzing the compound phrase of Dignāga’s definition of kalpanā. In addition, he indicates that Jinendrabuddhi has a similar assumption. One of the main purpose in this paper is to review how Jinendrabuddhi comments on Dignāga’s the definition on kalpanā and to consider what difference there are among post Dignāga’s chief commentators in traditional Buddhist epistemology.
    Dharmakīrti paraphrases Dignāga’s kalpanā as his own language. He describes that conceptual construction is understanding that appearance in the mind is possible to connect with word expressions (abhilāpasaṃsargayogyapratibhāsā pratītiḥ [kalpanā]). He interprets Dignāga’s phrase as bahuvrīhi compound.
    Dharmottara understands the possibility (yogya) in Dharmakīrti’s passage, which includes the ideas even in the mind of a baby and a deaf person who do not have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ideas in language. He tells, in addition, that the subject of cognition as well as the object of cognition has appearance. His insistence on the twofold of appearance of kalpanā shows the processing of conceptual construction based on the theory of Dignāga’s two aspects of knowledge (dvirūpatā).
    Jinendrabuddhi indicates that there is some unnatural grammar in Dignāga’s phrase, nāma-jāty-ādi. He analyzes that ‘nāman’ and ‘jātyādi’ relates to real beings and to unreal beings respectively. Although he does not say the reason for its reality or unreality, this paper tries to catch a clue for understanding Jinendrabuddhi’s opinion in the examples of nāman and jāty-ādi, which Dignāga describes after the definition of kalpanā, proper noun, general noun, adjectival noun, verbal noun, and substantial noun. Proper noun indicates ‘nāman’, general noun means ‘jāti’, and the rest is the sample to ‘ādi’. Proper noun applies only to a real being, because the noun’s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is one to one. The other examples come into mind without relating to a real being, which means a noun under this category connects to multiple objects. Finally Jinendrabuddhi says that Dignāga’s definition of kalpanā describes that the cognitive subject of which nāman and jātyādi connects the appearance of objective cognition with understands (pratīti) the cognitive object. In the above interpretation of Jinendrabuddhi, the word, understanding (pratīti) may be inferred being derived from Dharmakīrti’s thought.
    Śāntarakṣita applies two kinds of possibilities for interpretations, tatpuruṣa and bahuvrīhi compound, which are the phrases of Dignāga’s kalpanā definition. In other words, nāman is spoken in the Buddhist position and jātādi is in the non-Buddhist position. He gives the final interpretation to us as the following based on the instrumental cases in Dignāga’s passage showing the examples of kalpanā. Conceptual construction is what connects nāman with the relevant object by means of jātyādi.
    Mokṣākaragupta seems to understand Dharmakīrti’s kalpanā more actively than Dharmottara does. Mokṣākaragupta applie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with word expression not only just to to a baby and a deaf person, but also to even animals. This paper understands in case that Dharmottara’s possibility (yogya) is based on the social agreements, which are objective, Mokṣākaragupta expands the scope of possibility of kalpanā to memory or experience of beings like an animal, which is subj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