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민속학개론서의 내용과 특징 (Comparative Studies on Introductions to Folklore in Korea and Jap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04
28P 미리보기
한․일 민속학개론서의 내용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9호 / 201 ~ 228페이지
    · 저자명 : 임장혁

    초록

    개론서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두 가지 시각에서 논의된다. 첫째는 목차구성을 통해 학문의 범위와 각 장별 중요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정리하여 어떻게 체계화하였는가에 대해 집중된다. 둘째는 여러 성과물을 가운데 어떠한 개념이 선택되어 개론서에 배치되어 집필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개론서의 통해 양국의 민속학적 경향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러 개론서 중에서 한일 양국의 첫 민속학개론서이거나 출판연대가 비슷하고 학계의 의견이 반영되어 비교적 독자층을 확보한 서적 3권을 각각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한일 민속학개론서는 공히 민속학이 과거의 학문인가 현재의 학문인가에 대한 물음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가 연속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현재중심의 학문이 되어야 한다는 학문적 성격을 명확히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민속학개론서는 과거중심으로 일상생활을 이해하려는 학문으로 개론서가 집필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학자가 집필하여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지적에 대해 양국의 개론서 공히 자인하고 있으나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단 각 개론서는 학문적 범위와 성향을 반영하는 길잡이라 한다면 한국의 민속학개론서에는 집필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연구 성과를 정리한데 그친 아쉬운 면이 있다.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의 형성과 각 분야별 연구 성향을 이해하는 좌표이다. 한국의 개론서는 민속을 구비문학, 민간신앙, 의식주생활, 통과의례, 민속예술 등이 공통으로 각 장에서 독립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분야별 연구 성과를 잘 정리하고 있으나 각 분야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본의 개론서의 목차는 민속을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전승을 논하거나 또는 시간과 공간의 양축으로 민속이 형성되는지를 논하고 있어 각 개론서별 특징이 나타나 있다. 현대에 농촌의 과소화에 따른 도시민속학이나 현대민속학의 필요성도 강조한 점이 일본민속학 개론서의 특징이기도하다.
    역사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일본민속학과 국문학의 보조학문으로 출발한 한국민속학이지만 두 나라의 민속학이지만 독립학문으로 점차 사회에 참여하는 실천민속을 추구하고 있다. 한일 공히 민속학의 개념정립과 더불어 새로운 개론서에 집필방향을 모색할 시기이다.

    영어초록

    Generally, an evaluation on introductory texts on certain subjects is discussed with two points. First, the book can be examined through its contents, in which each chapter often shows the scope and range of the subject as well as major research. Second involves outcomes selected for the introduction among research previously done. This paper will explore characteristics of introductory textbooks in Korean and Japanese folklore in both countries. For this, three introductory textbooks from each country were selected and compared The books were first editions with wide readership, and they were all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Most of introductory folklor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gin with a question of whether folklore is a research subject concerning the past or present. They also investigate folklore as something continuing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insist that folklore be more present oriented. However, in some cases we found that Korean introductory textbooks into folklore were written to understand people’s daily life in the past. Additionally, these books were published in collaboration with several researchers, so they are often inconsistent. This tends to be the case in both countries. Considering that introductory textbooks are guides to show the academic scope and tendency, it is unfortunate that Korean texts often confuse the authors’ intention and simply arrange previous study results.
    The table of contents indicates the scope of the book, so readers can understand the research disposition. In the case of Korean folklore textbooks, folklore is divided into several chapters, such as oral literature, folk beliefs, life necessities, rites of passage, and folk art.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chapt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nts of Japanese folklore introductory texts, folklore is discussed in terms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Additionally, they try to show how folklore is formed with biaxial arrangement of time and space and emphasize the need to study urban folklore and contemporary folklore because of depopulation of rural areas.
    In both countries, folklore developed as an auxiliary study: in Japan as an auxiliary study of history and in Korea as an auxiliary study of Korean literature. Nevertheless, we find that folklore in Korea and Japan pursues more practical research with involvement from society. For both Korea and Japan, it is time to develop the notion of folklore and seek a new direction for organizing content in introductory textbooks on folkl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