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삼국통일론 논의의 연구사적 검토 (A Study on the Theory of Silla's Unifi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8
38P 미리보기
신라삼국통일론 논의의 연구사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43호 / 67 ~ 104페이지
    · 저자명 : 장원섭

    초록

    7세기 후반 한반도를 무대로 벌어진 삼국통일 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한국고대사에서 주요 쟁점 중의 하나이다. 이 전쟁의 결과로 신라의 삼국통일이 이루어졌다는 시각이 통일 직후부터 형성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역사지리학자들에 의해 발해와의 병립에 주목한 남북국시대론과 고려를 최초의 통일왕조로 보는 시각이 제기되면서, 이후 신라의 삼국통일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이 이어졌다.
    신라삼국통일론에 대한 논쟁은 크게 나당동맹 결성에서 비롯된 외세의 이용, 나당전쟁을 통한 외세 극복과정, ‘一統三韓’ 의식의 형성 시기, 영토적으로 불완전한 통일, 통일 후 국토 재편과 민족통합정책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에 대한 견해는 신라 삼국통일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이어지고, 부정론은 ‘남북국시대론’과 ‘후기신라론’ 그리고 ‘고려 최초 통일론’과 ‘백제통합전쟁론’ 등으로 제기되었다.
    신라와 당의 관계 또한 단지 대외문제로서 이해하기 보다는 삼국의 정세와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라는 오랜 숙적이었던 백제를 滅하는 것이 1차적인 목적이었지만, 처음부터 고구려 멸망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당과 동맹을 결성하면서 북방의 위협세력이었던 고구려 멸망을 2차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음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신라가 唐을 전략적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자신들의 국력이 백제와 고구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나당동맹 체결은 바로 신라가 백제, 고구려와의 외교전에서 승리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인 의의에 대한 평가도 각각의 논점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 부여해 왔다. 7세기 후반 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끌어낸 역사적 사건인 신라 삼국통일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에만 천착할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動因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해석하는 거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How to view the Three Kingdoms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7th century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ult of the war, the view that Silla was able to unify the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formed right after the unification. However, as historians of history and geo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onflict with Balhae and saw the theory of the South Sea as the first unified dynasty, various disputes ensued.
    The dispute ov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was largely based on the use of foreign powers resul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adang Alliance, the process of overcoming foreign forces through the war,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This view led to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including the 'South Sea State Age', 'Later Silla' and 'Baekje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ng also need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three kingdoms rather than just understanding as an external matter. Silla's primary purpose was to destroy its longtime rival, Baekje, but it established a party and an alliance with the ultimate goal of the collapse of Goguryeo, as a secondary goal. Silla chose Tang as its strategic partner when its national power was relatively inferior to Baekje and Goguryeo. The signing of the Nadang alliance is the result of Silla's victory in diplomatic wars with Baekje and Goguryeo.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has also given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each issue.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the only things that we need to look into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hilla kingdoms, which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East Asia's international order since the late 7th century. It needs to be reaffirmed that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s not a product of chance as a result of the war in the late 7th century, but a result of its long accumulation of national cap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