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 이론에 기초하는 일본무도의 수행론 (The Practice of Japanese Martial Arts based on Buddhist Theo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0
30P 미리보기
불교 이론에 기초하는 일본무도의 수행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3호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김용훈

    초록

    본 논문은 일본 무도의 사상적 기반을 이루는 불교 이론인 ‘事理一體’와 ‘空’에 근거하여 불교적 수행론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일본 무도는 儒·佛·道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깊게 영향을 준 것은 불교이다. 특히 선종은 심리문제에 있어 일본무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生死一如’의 선종사상은 당시 전쟁에서 생사를 넘나드는 무사들에게 공포를 물리치게 했으며, 무사들이 검을 다루는데 있어 적 앞에서 조차 흔들리지 않는 ‘無心’, ‘平常心’과 같은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다쿠앙은 평상심을 유지하기 위해 ‘事理’수행을 주장했다. 그는 ‘事’와 ‘理’중 어느 하나에만 얽매이지 말고 마차의 바퀴처럼 함께 닦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야모토 무사시와 야규 무네노리는 검술의 최고경지는 불교의 ‘空’의 경지와 같다고 했다. 이처럼 병법에서 마음이 죽음의 공포를 의식하거나 상대를 이기겠다는 집착이 없이 손과 발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 그 마음이 곧 달인의 마음이자 ‘空’의 경지이다. 검술의 극의란 결국 마음을 잘 다스렸는가, 못 다스렸는가에 달려 있었다. 선종과 무도 수행의 상호관계를 보면 禪意가 일본 武學이 추구하는 높은 수행의 경지가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erformance theory based on the Buddhist theory of ‘reconcile the phenomena with the principles’(事理一體) and 'emptiness'(空), which form the ideological basis of Japanese martial arts. Japanese martial arts are based on the idea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among them, Buddhism has deeply influenced Japanese martial arts. Zen Buddhism, in particular, had a great influence on Japanese samurai in psychological matters. The Zen ideology of ‘Life and death are one’(生死一如) defeated fear by warriors who lived and died in the war at the time, and suggested ways for warriors to control their minds such as ‘empty mind’(無心) and ‘composure’(平常心) that are not shaken even in front of the enemy in handling swords. Dakuang(澤庵) insisted on 'the practice of phenomena and principles'(事理修行) to maintain his composure. He said that instead of being tied to either ‘phenomenon’(事) or ‘principle’(理), they should be practice together like the wheels of a carriage. Miyamoto Musashi(宮本武藏) and Yagyu Munenori(柳生宗矩) said that the highest level of swordsmanship is the same as that of Buddhism's ‘emptiness’(空). In this way, when the mind is conscious of the fear of death in the military law or when the hands and feet move naturally without an obsession to beat the opponent, the mind is the master's mind and the state of ‘emptiness’(空). In the end, the ‘Keuk-Ui’(極意) of swordsmanship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samurai can control the mind well.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Buddhism and martial arts practice, Zen Buddhism's performance has become a high level of performance pursued by Japanese martial arts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