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延平 李貴의 政治論과 學問觀 (Yi Kwi’s Political Theory and Perception of Lear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7.12
40P 미리보기
延平 李貴의 政治論과 學問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29호 / 73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용흠

    초록

    延平 李貴(1557~1633)는 兩亂의 격동기를 살면서 나름대로의 일관된 政治論에 입각하여 치열하게 정치활동을 전개한 實踐的 政論家였는데, 그것은 동아시아의 知的 傳統에 뿌리박은 그 나름의 學問觀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귀는 당시의 지배 사상이었던 朱子學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이 변화하는 현실과 모순․괴리될 때는 儒敎 본래의 이념과 정신을 되살려서 새로운 논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가 당대의 主流 官人들과는 다른 파격적인 처신을 보인 것은 냉철한 現實認識과 새로운 學問觀의 소산이었는데, 여기에는 그의 政治와 國家에 대한 治者로서의 責務意識이 깔려 있었다.
    그는 자신의 스승인 李珥와 成渾의 更張論과 破朋黨論을 계승하여 인조대 전반 내내 變法的 經世論을 정력적으로 제기하였다. 또한 정치․경제․군사․외교적 제반 사안에 대해서는 ‘國事와 民事의 일치를 指向하는 保民論’에 입각한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로 인해서 朱子學 政治思想에만 집착하는 주류 관인․유자들과는 사사건건 대립․갈등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는 朱子學 가운데 義理와 德業만을 내세우는 朱子學 名分論者들에 대해서 識見과 事功을 강조하는 이귀의 새로운 學問觀이 그 저변에 깔려 있었다.
    또한 이귀는 조정에서 元宗 追崇 論爭을 주도하여 反正으로 즉위한 仁祖의 宗法的 正統性을 확립하고 王權을 강화시키는 초석을 놓았다. 그 과정에서 이귀는 누구보다도 儒敎思想을 변화된 현실에 입각하여 폭넓고 탄력적으로 해석하여 조정 내 추숭 반대론자들의 학문적 논리적 모순과 오류를 통렬하게 논파하였다. 이로써 주류 관인들의 臣權論에 맞서 王權論을 정립함으로써 후대 蕩平論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그의 새로운 學問觀은 후대 實學 思想으로 계승․발전되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Yi Kwi (1557~1633) was a political leader who despite having lived through a tumultuous period marked by the Hideyoshi Invasions of 1592 and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 carried out activities that were based on a steady political philosophy. This course of action was made possible by the fact that he had established his own perception of studies, one which was based on the intellectual tradition of East Asia. Although Yi Kwi did not reject the then‐dominant ideology of Neo Confucianism, he sought to apply new logic and methods rooted in a restoration of the original ideology and spirit of Confucianism whenever the tenets of Neo Confucianism clashed with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His behavior and attitude was unlike that of the majority of the bureaucrats during this period. This contrast was in effect rooted in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new concept of learning, a concept which was based on his perception of politics and of the responsibilities of the politician towards the state.
    Emerging as the rightful inheritor of Yi Yi and Sŏng Hon’s notions of Kyŏngjangnon (更張論, a national reform theory focused on public welfare) and P΄abungdangnon (破朋黨論, a theory which was based on the vilification of political factions) Yi Kwi consistently advocated the merit of the Pyŏnbŏpchŏk kyŏngseron (變法的 經世論, governance through reforms)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In addition, he steadily adhered to a stance that was based on the Pominnon (保民論, a theory which regarded public welfare and security as being the highest priority) notion of bringing about uniformity between national and public affairs where matters related to politics, the economy, military, and diplomacy were concerned. In this regard, he had little choice but to come into open conflict with the majority of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 scholars who focused on Confucian‐based political philosophies. These conflicts were rooted in Yi Kwi’s new perception of learning, which emphasized knowledge and insight (sikkyŏn) and strove to complete the task (sagong) of countering the Confucian scholars who advanced the concepts of righteousness and virtue based on the theory of myŏngbunnon (justification theory).
    Furthermore, Yi Kwi’s decision to lead the charge regarding the matter of bestowing an honorific posthumous title to King Wŏnjong was based on his desire to not only cement the legitimacy of King Injo, who had recently been restored to the throne, and his patriarchal clan, but also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is process, Yi began, based on the changed reality, to interpret Confucianism in a broader and more flexible manner and to criticize the scholarly contradictions and mistakes of those who opposed the bestowing of an honorific posthumous title to King Wŏnjong. Yi’s establishment of the Wanggwŏnnon (王權論, theory in which power rested with the royal authority) which ran contrary to the Sin΄gwŏnnon (臣勸論, theory that power should be exercised by the meritorious subjects) advocated by the main officials set the table for the eventual foundation of the T΄angp΄yŏngnon (蕩平論, theory of impartiality). Yi’s new concept of studies exposed during this process was passed down to ensuing generations and ultimately it developed into the Sirhak (實學, Practical Learning) school of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